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 대학생과 학문 목적 한국어학습자 간의 발표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이용수 5

영문명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 learners’for academic purposes use of presentation strategie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지현(Ji hyun Kim) 이다슴(Da seum Lee)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대학생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간의 발표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 발표 전략의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 100명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Morita(2000)와 Reinhart(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발표 전략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온라인 비대면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 대학생에 비해 발표 전략 사용에서 낮은 양상을 보였으며, 그중 ‘비언어적 전략’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한국인 대학생에 비해 청중의 관심과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시선 맞추기, 제스처 사용하기, 열정을 보여주며 청중의 집중 고정시키기와 같은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 했다. 또한 자료 활용 전략의 ‘메모를 보며 연습하기’, 구조적 전략의 ‘중요한 단어 설명하기’, ‘발표 마지막에 요약하기’, 청중 배려 전략의 ‘다양한 자료의 활용으로 청자 관심 유발시키기’ 전략을 한국인 대학생보다 소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적인 결과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전략 교육 방안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use of presentation strategies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deriv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presentation strategie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regarding presentation strategy presented in Morita (2000) and Reinhart (2002) for 1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60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ere found to have a lower frequency of using presentation strategies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largest difference was observed in “non-verbal strategies.” In particular, compared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did not use strategies such as eye contact, gesture use, and passion that could induce the audience'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 addition, “practice while looking at notes” of the data utilization strategy, “explaining important words,” “summarizing at the end of presentation” of structural strategies, and “inducing listener interest using various materials” of audience-conscious strategies were used more passively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 hope that the empirical results will help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presentation strategy education plan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서론
2. 학문적 발표 특징 및 전략
3. 연구 방법
4. 발표 전략 사용 양상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단말기_4월_북꽃축제(우측윙)
  • [윙하단] 열린책들 세계문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