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미주 지역 K-12 및 세종학당 교원을 대상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ter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The ca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t K-12 schools and King Sejong Institute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경(Kyung Lee) 강현주(Hyun Ju Kang) 김수은(Su 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1호, 87~12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사의 핵심 역량으로 수업 및 자기 성찰 역량, 교육자적 태도, 내용 지식, 그리고 교수 기술 및 전략의 네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이 네 가지 구성 요소가 구체적인 교육 맥락 내에서 상호 기능하는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사의 핵심 역량과 구성 요소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국 LA 지역의 K-12 및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본고는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이해 관계자와 참가자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 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사례 공유와 공통 교안 작성 등 교사의 성찰을 돕고 실제적인 교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 내에 시의성 있는 한국 문화 콘텐츠와 최신 테크놀로지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결과, 59.6%의 참가자들이 해당 프로그램이 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일정 및 비대면 교육이라는 한계로 인해 상호문화 교수 역량을 실천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활용도 높은 내용, 교사의 자기 성찰적 활동의 기회가 프로그램에 더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남아 있다.
영문 초록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ter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re-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inter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f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is purpose, four components were presented as core competenci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eaching and self-reflection’, ‘educator attitude’,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and strategies’. In addition, a model in which these four components interact within a specific educational context was derived. A teacher re-education workshop was planned for the Los Angeles area. We reviewed advanced research to determine the gaps this program could fill, and the requests and opinions of stakeholders and participa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developed program sought to help teachers reflect, such as by sharing their ideas, writing a co-operative lesson plan, and strengthening their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and discussions were held on ways to promote the active use of Korean cultural content and the latest technology.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a post-program satisfaction survey. Of the participants, 59.6% answered that the program was helpful with regard to re-education. However, there remains a need to develop content that can help teachers strengthen their intercultural teaching competency and facilitate self-refle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해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4. 프로그램 운영 결과 및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중 이동사건의 어휘화 양상 대조 연구
- NER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직업명 연구 - 한국어교육과 인공지능인문학의 확장적 탐색
-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 적응 양상
- 한국인 대학생과 학문 목적 한국어학습자 간의 발표 전략 사용 양상 비교
- 수상 소감에 나타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문화적 차이
- 한국어 교원의 상호문화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미주 지역 K-12 및 세종학당 교원을 대상으로
- 베트남 국가 단위 한국어 평가 분석 연구 - 제 1회 대학 입학시험을 중심으로
- 한국어 말하기 자동평가를 위한 발음 오류 분석 -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