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연계·통합 관점에 따른 빅 아이디어 제시 방식 분석: 싱가포르, 호주, IB, 한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77

영문명
Analysis of Big Idea Presentation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Focusing on Singapore, Australia, IB, and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동건(Donggeon Lee) 임유나(Yoona L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4권 제4호, 69~9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가 제시된 방식을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빅 아이디어를 포함하고 있는 싱가포르, 호주, IB, 한국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문서에 드러난 빅 아이디어의 제시 양상, 빅 아이디어 중심의 교육과정 연계·통합 범위, 그리고 빅 아이디어 중심의 교육과정 연계·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지침이 지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 교육과정은 학문의 핵심을 관통하는 소수의 핵심적인 빅 아이디어가 제시되어 있다. 둘째, 국외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의 제시 형태와 연계·통합의 범위 간의 상관성이 드러났다. 단어 형태는 범교과적인 넓은 범위에 적용하여 폭넓은 학습 내용을 연계·통합하는 데 유리하고, 문장 형태는 교과 하위 수준 등의 좁은 범위에서 인지적 이해의 대상으로서의 초점이 명료히 하는 데 적절하였다. 셋째, 국외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는 교과 혹은 범교과적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연계·통합하는 구심점으로 작동하였다. 넷째, 국외 교육과정은 빅 아이디어 중심의 교육과정 연계·통합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안내를 제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의 질적 개선을 위해 범교과적 수준의 빅 아이디어 제시, 교과 내 영역 수준으로 제시된 빅 아이디어의 수준 제고 및 개수의 적정화, 빅 아이디어의 실질적 작동을 위한 지원책 마련, 교과별로 숙의를 바탕으로 빅 아이디어를 검토 및 재개발하는 과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big ideas are presen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uth Korea's curriculum. [Method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curricula from Singapore, Australia, IB, and South Korea that include big ideas. It examined the presentation patterns of big ideas, the scope of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centered around big id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idelines supporting big idea-centered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in curriculum documents. [Results] First, foreign curricula present a small number of big ideas that penetrate the essence of each discipline. Seco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tation format of big ideas and the scope of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was observed. Word-based formats are advantageous for broa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while sentence-based formats are more appropriate for clear cognitive understanding at narrower, sub-disciplinary levels. Third, in foreign curricula, big ideas serve as a central axis for linking and integrating subjects or across disciplines. Fourth, foreign curricula provide specific guidelines to support big idea-centered curriculum linkage and integr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improving big ideas of South Korea's curriculum: introducing big ideas at an interdisciplinary level, enhancing the quality and optimizing the number of big ideas presented within subject domains, providing support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ig ideas, and establishing a process where big ideas are reviewed and redeveloped through thorough deliberation by subject area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대상 및 기준
Ⅳ. 빅 아이디어 제시 방식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