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 불안의 계층화: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Staratification of Korean Parents’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ceived Fairnes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렬(Hyungryeol Ki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제34권 제4호, 149~18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부모들의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을 사회적 불안의 한 하위 유형으로 규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며, 나아가 이 관계가 부모의 공정성 인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방법] 제 7차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s Survey, WVS Wave 7)의 한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 수준이 학력과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즉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의 계층화 현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학력 및 소득과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 간의 관계가 부모의 공정성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PROCESS(Model 4; Hayes, 2012)를 활용한다.
[연구결과] 일원분산분석 결과,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는 반면,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은 부모의 학력보다는 소득에 영향을 받으며 연령대, 거주지역 규모, 외향성, 종교성, 주관적 건강상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 검증 결과, 부모의 소득과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 간의 관계는 소득 및 자산 분배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 취업 및 승진 기회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의해 각각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자녀 교육에 대한 불안이 소득에 따라 계층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안이 사회의 공정성을 낮게 인식할 때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또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anxiety of Korean parents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a subtype of social anxie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it.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s how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in Korean society affect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and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arents' perceptions of fairnes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7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WVS Wave 7) for Korea,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based on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thereby identifying the stratification of such anxiety. Next,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continue to influence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influencing factors. Lastly, to verify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and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is mediated by parents' perceptions of fairness, PROCESS (Model 4; Hayes, 2012)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showed that as parental education increases,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also increases, whereas higher parental income tends to reduce this anxiety.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among Korean parents is more influenced by income than education, and that age, residential area size, extroversion, religios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Medi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me and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perceptions of fairness in income and asset distribution, as well as fairness in educational, employment, and promotion opportun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nxiety about children's educatio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stratified by income and that this anxiety can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rising from lower perceptions of social fair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의 사교육 수요시장 및 수요관리 정책 동향 분석
- 뉴욕주의 진로교육 담당 교사 양성과정 탐색: 고교학점제 시행 맥락에서 한국의 진로전담교사 양성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 연계·통합 관점에 따른 빅 아이디어 제시 방식 분석: 싱가포르, 호주, IB, 한국을 중심으로
-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 불안의 계층화: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와 내용조직 비교 연구: 독일의 교과 편제와 역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직 만족도 및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세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