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업무상저작물 제도 개선의 기초논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 저작인격권과 경제적 보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Fundamental Issues in Improving Works Made for Hire Provisions : Focusing on Moral Rights and Economic Remuneration
발행기관
한국정보법학회
저자명
박준우(Junu Park)
간행물 정보
『정보법학』제28권 제1호, 77~1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저작권법은 저작권을 가장 먼저 가지는 자를 결정하기 위해 ‘저작자’라는 개념을만들고 ‘저작물을 창작한 자”라고 정의하였는데(제2조 제2호), 강행규정이다. 대법원과 학설은 위 ‘창작한 자’를 ‘저작물을 실제로 작성한 자연인’으로 한정하여 해석하는데, 이를 ‘창작자주의’라고 부른다. 그러나 ‘업무상저작물’(제2조 제31호)을 법인 등의명의로 공표하면, 그 업무상저작물을 실제로 작성한 피용자(자연인)가 아닌 법인 등이 저작자가 되어(제9조)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을 가진다(제10조 제1항). 따라서업무상저작물 제도는 ‘창작자주의’의 예외다. 그런데 ‘창작자주의’의 예외인 업무상저작물 제도에 대해서는 비판이 있으며,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를 피용자로 규정하는 저작권법 개정안 초안들이 제시되었다. 이논문은 업무상저작물 규정 개정이 위 비판이 제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적절한 수단인지를 검토한다. 위 목적을 위해 우선 업무상저작물 제도의 연혁과 입법취지를 설명하고(II), 헌법재판소 위헌심판, 저작권법 전부개정안, 학설 등에 나타난 업무상저작물제도 비판의 내용과 근거를 소개하고(III), 저작인격권 귀속과 피용자에 대한 경제적보상 등 선결문제들을 검토한다(IV). 그리고 업무상저작물 관련 저작인격권 귀속과피용자에 대한 경제적 보상 문제는 업무상저작물 규정의 개정 논의에 앞서 제2조 제1 호와 제2호, 제13조, 추가보상청구권 등에 관한 ‘기초논의’를 먼저 진행하여 해결을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e Copyright Act created the concept of ‘author’ to determine the initial copyright holder. According to Article 2, Clause 2 of the Copyright Act, an ‘author’ is defined as the one who ‘created the work,’ and this is a mandatory provision. The Supreme Court and academics interpret the ‘author’ to mean ‘the natural person who actually produced the work,’ and this interpretation is referred to as the ‘creator-principle(Schöpferprinzip). In the case of ‘Work Made for Hire(WMFH)’ (Art icle 2, Clause 31), if such works are disclosed under the name of the employer, whether it is a corporation or a natural person, the employer, rather than the actual individual employee (natural person) who created the work, is the author (Article 9). Consequently, the employer holds both moral and economic rights over the work (Article 10, Clause 1). Therefore, the WMFH is an exception to the ‘creator-principle.’ However, academics criticize the WMFH provisions, arguing that it severely undermines the ‘creator-principle.’ Recently, several drafts for a copyright amendment bill were proposed to grant the initial copyright of a WMFH to employees who actually created it, rather than to the employ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asis of the criticism, especially the issue of who owns the moral right and of economic compensation to the employees. To achieve this goal, the article explains the purpose and legislative history of the WMFH provision(II), and introduces an overview of issues related with the WMFH provisions found in the Constitutional Court, proposed amendments to the Copyright Act, and academic materials(III). It t hen discusses on the issues of who should own the moral right s of WMFH, and of t he economic compensation t o exployees. And i t argues t hat t he answer to the above issues should be found in regard with more fundamental issues, such as the Clauses 1 and 2 of Article 2, Article 13 of Copyright Act, and additional remuneration, rather than WMFH itself.

목차

Ⅰ. 서론
Ⅱ. 업무상저작물 규정의 연혁과 입법취지
Ⅲ.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 결정에 대한 비판
Ⅳ. 업무상저작물 제도 논의의 선결문제
Ⅴ. 결론: 저작권법의 기초논의 지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우(Junu Park). (2024).업무상저작물 제도 개선의 기초논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 저작인격권과 경제적 보상을 중심으로. 정보법학, 28 (1), 77-104

MLA

박준우(Junu Park). "업무상저작물 제도 개선의 기초논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 저작인격권과 경제적 보상을 중심으로." 정보법학, 28.1(2024): 7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