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屠寄의 『蒙兀兒史記』 편찬과 전환기의 역사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Compilation of Tu Ji's Mengwuershiji in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nd the Perception of Histo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조원(Won Ch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91집, 305~3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몽올아사기』는 청말 민국 초기 관료였던 도기가 집필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몽골제국사를 다루고 있는 거작으로 명청대 진행된 원사 연구의 흐름을 잇고 있다. 『원사』는 당대부터 후대에 이르기까지 오류와 내용의 누락으로 학자들의 비판을 받아왔고, 명대에서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원사』에 대한 補正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청말에 이르러서는 청의 고증학적 전통에 변경의 위기가 더해져 몽원사지학이라는 학문적 흐름을 이룰 정도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도기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속선상에서 『몽올아사기』를 집필했다. 그러나 몽올아사기는 명청대 『원사』의 補正 차원에서 집필된 전대의 저작들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차별성을 지닌다. 도기는 『몽올아사기』 몽골적 관점을 담아내고자 했다. 또한 그는 몽골제국의 역사상 복원을 시도했다. 그는 한족 사가들이 집필한 『원사』와 그 개찬본에서 누락되어 있는 몽골부족 초기 역사, 칭기스칸의 서정에 관한 내용, 유라시아를 정복한 칭기스칸의 각 후예들의 계보와 사적들에 관한 내용을 보완했다. 그는 몽골 부족의 기원과 칭기스칸의 초기 역사 및 사적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몽골의 형성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몽골의 통치 집단의 규모와 실상을 상세히 드러내고자 했다. 그는 『원사』에서 소략한 서아시아의 세력과 몽골의 정복 과정을 소상하게 기술함으로써 몽골의 유라시아 팽창 과정의 진상을 밝히고 몽골제국 역사상의 복원을 시도했다. 도기가 『몽올아사기』를 통해 몽골제국의 진상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은 18세기 이후로 활발히 이루어졌던 몽원사지학의 성과들과 서구 학계의 몽골사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들을 소개했던 자들은 유럽에 외교관으로 파견되었던 인물이나 유학생들이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4국의 대사로 파견되었던 홍균은 서구의 몽골사 연구성과를 접했고, 이를 바탕으로 『원사역문증보』를 집필했는데, 이는 도기의 『몽올아사기』 의 구성과 내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이 저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몽올아사기』가 편찬된 시점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911년 신해 혁명으로 결국 청제국은 무너졌고, 청제국의 판도에 있었던 외몽골이 독립을 선포했다. 도기는 제국의 몰락과 국민 국가의 탄생이라는 전환기에 몽골제국사를 집필해 전념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점에서 『몽올아사기』에는 도기 개인이 맞닥뜨린 제국 붕괴의 위기와 새로운 국가 탄생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의 역사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e Mengwuershiji(『蒙兀兒史記』) is a historiography written by Tu Ji, a bureaucrat and historian during the late Qing and early Republic of China. This book, a monumental work covering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continues the trend of Yuanshi studies conducted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Yuanshi(『元史』) had been criticized by scholars from its time to later periods for its errors and omissions. Consequently,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efforts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Yuanshi were continually published. By the late Qing period, the confluence of the Qing's evidential scholarship tradition and the crisis at the frontier led to a flourishing of research that formed the academic stream known as 'Mongol-Yuan Studies.' Tu Ji wrote the Mengwuershiji in this context of ongoing scholarly critique and correction. However, the Mengwuershiji differs significantly in several aspects from earlier works written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at aimed to correct the Yuanshi. Tu Ji aimed to incorporate the Mongolian perspective in the Mengwuershiji. He also attempted to restore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Mongol Empire. He supplemented the gaps found in the Yuanshi and its revised editions, which were written by Han Chinese historians, by including the early history of the Mongol tribes, the campaigns of Genghis Khan, and the genealogies and records of the various descendants of Genghis Khan who conquered Eurasia. Tu Ji meticulously detailed the origins of the Mongol tribes and the early history and achievements of Genghis Khan to thoroughly introduc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ongol Empire. Furthermore, he sought to reveal the scale and realities of the ruling group of the Mongols in detail. By elaborately describing the forces in Western Asia and the Mongol conquests, which were briefly covered in the 'History of Yuan,' he aimed to clarify the process of Mongol expansion across Eurasia and to attempt a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Mongol Empire. Tu Ji's ability to approach the true nature of the Mongol Empire through the Mengwuershiji was made possible by the achievements of Mongol-Yuan studies that had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18th century and the Mongolian studies of Western academia. The individuals who introduced these studies were diplomats dispatched to Europe or students studying abroad. Notably, Hong Jun, who was dispatched as an ambassador to Russia, Germany, Austria, and the Netherlands, encountered Western research on Mongolian history and, based on this, wrote the Yuanshiyiwenzhengbu(『元史譯文証補』),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u Ji's Mengwuershiji. To understand this work,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when the Mengwuershiji was compiled. In 1911, the Xinhai Revolution ultimately led to the fall of the Qing Empire, and Outer Mongolia, which was under the domain of the Qing Empire, declared its independence. Tu Ji began to devote himself to writing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of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birth of nation-states. In this regard, the Mengwuershiji reflect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era's circumstances, including Tu Ji's personal encounter with the crisis of imperial collapse and the birth of a new n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屠寄의 생애와 『蒙兀兒史記』 편찬
Ⅲ. 『蒙兀兒史記』의 서술 특징과 몽골제국 歷史像의 변화
Ⅳ. 淸末民初 서구 학계와의 교류 및 전환기 제국 인식의 변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Won Cho). (2024).屠寄의 『蒙兀兒史記』 편찬과 전환기의 역사 인식. 역사문화연구, (), 305-338

MLA

조원(Won Cho). "屠寄의 『蒙兀兒史記』 편찬과 전환기의 역사 인식." 역사문화연구, (2024): 305-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