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로에 선 ‘민주주의 섬’의 지도자: 베네쉬(Edvard Beneš)의 인식과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재고찰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Leader of an ‘Island of Democracy’ at the Crossroads: Rethinking the Assessment of Beneš’s Perception and Governanc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양준석(Joonseok Yang)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3호, 237~27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체코슬로바키아 제2대 대통령 베네쉬는 “유럽에서 가장 뛰어난 민주주의자”라는 평가부터 국가몰락의 중대한 책임을 추궁당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국가 위기 시 그가 갖는 고민의 근본적 원인을 분석한다. 체코슬로바키아의 건국 과정부터 제1공화국기 베네쉬는 서구 민주주의에 기초한 주권 획득, 영토 획정, 그리고 국민 화합을 위해 핵심적 기여를 했다. 하지만 1938년 서구 국가들은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침략에 협력했다. 서구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베네쉬는 단독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지원을 약속한 스탈린의 제안을 공산화 의도로 파악해 거절했고, 서구 중심의 국가 기조를 유지했다. 그러나 베네쉬가 갖는 뮌헨의 트라우마, 나치의 만행, 미국의 방기적 태도, 그리고 소련의 우호와 압박에 기초한 투 트랙 전략은 결국 베네쉬를 적화 지향으로 이끌었다. 베네쉬는 공산화 과정을 용인했지만, 공산주의의 본질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삶의 마지막 시간까지 고뇌한 ‘기로에 선 지도자’였다.
영문 초록
Czechoslovakia’s second president, Edvard Beneš, ranges from being described as “Europe’s most brilliant democrat” to being held largely responsible for the country’s downfall. This study analyzes the root causes of his concerns during the national crisis. From the founding of Czechoslovakia to the First Republic, Beneš made a key contribution to the acquisition of sovereignty, territorial demarcation, and national unity based on Western democracy with the support of Western countries. However, in 1938, the West supported Germany’s invasion of Czechoslovakia. Despite the West’s betrayal, Beneš rejected Stalin’s offer to support the Czechoslovak war effort alone, perceiving it to be communist in intent, and maintained a Western-oriented state. However, the Beneš’s trauma over the Munich Agreement, the Nazi atrocities, the abandon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a two-track strategy based on Soviet friendship and pressure eventually drove Beneš towards communism. Despite tolerating communization, Beneš refused to recognize the nature of communism, being an agonizing ‘leader at the crossroads’ until his death.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건국의 실행자 베네쉬
3. 베네쉬의 트라우마: 뮌헨협정 체결
4. 적화(赤化)로 향한 해방공간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방제재가 러시아 주요기업의 활동에 미친 영향 분석: 25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러시아 연방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 루마니아의 두 번째 유럽문화수도 티미쇼아라의 상징과 시사점
-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 탈(脫)경계적 공간에서의 소통 양상의 변화: 기술의 진보에 따른 새로운 언어접촉 양상
- ‘상실’과 ‘저항’: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에세이즘과 그 함의
- 엘리아데 소설 『천상에서의 결혼식(Nunta în cer)』에서 구현된 아이테르눔(Aeternum) 공간에서의 사랑
-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 기로에 선 ‘민주주의 섬’의 지도자: 베네쉬(Edvard Beneš)의 인식과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재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