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 연방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이용수 34
- 영문명
- Awareness and Policy on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in the Russian Fed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김상원(Sang Won Kim)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3호, 169~20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 및 환경 문제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큰 걸림돌 중 하나이다. 러시아의 경우 지구 전체보다 더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의 기후 및 환경 정책은 천연자원의 생산부터 국가 목표, 전략적 목표 설정 및 경제 상황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자원을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조정 과정을 거쳐왔다. 러시아의 국가 전략은 원자재가 국가 경제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크게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러시아도 기후 및 환경 변화로 인해 변화할 수밖에 없다. 러시아가 기후 및 환경 변화의 과정에서 정책적 우선순위를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의 현재 상황과 정책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are one of the biggest threat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nkind. Russia is warming faster than the planet as a whole. In this process, climate and environmental policy in Russia is directly linked to national goals, strategic goal setting, and economic conditions, starting with the production of natural resources. As such, it has gone through several stages of coordination to ensure the rational use of resources. Russia’s national strateg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raw materi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untry’s economic structure. However, Russia is also bound to change due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In order to understand how Russia can shift its policy priorities in the process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changes in Russi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러시아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변화
3.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4. 외교 정책 도구로서의 러시아 기후 및 환경 정책
5.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방제재가 러시아 주요기업의 활동에 미친 영향 분석: 25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러시아 연방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 루마니아의 두 번째 유럽문화수도 티미쇼아라의 상징과 시사점
-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 탈(脫)경계적 공간에서의 소통 양상의 변화: 기술의 진보에 따른 새로운 언어접촉 양상
- ‘상실’과 ‘저항’: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에세이즘과 그 함의
- 엘리아데 소설 『천상에서의 결혼식(Nunta în cer)』에서 구현된 아이테르눔(Aeternum) 공간에서의 사랑
-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 기로에 선 ‘민주주의 섬’의 지도자: 베네쉬(Edvard Beneš)의 인식과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재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