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이용수 2

영문명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and a Case for Studying ‘Post-Yugoslavi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상헌(Sang Hun Kim)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3호, 3~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포스트-공산주의(Post-communism)’ 문제를 연구하는 정치분석가들의 후행적 연구는 1992년 이후 30여 년이 지난 현재,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속했던 각 공화국을 대상으로 한 형태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는 개별 국가의 관점에서 역사와 정치를 바라보고 있다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향후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 Yugoslavia)’ 연구가 각 구성원에 대한 개별적 문화 연구를 넘어서는 상호복합적인 문화에 대한 연구의 방향으로 나아가야만 한다는 점에 천착한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원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 (Yugoslavia)’와 ‘공산주의 (Communism)’라는 공통의 역사를 공유했지만, 이미 30년 이상 각자 다른 길을 걸어왔고, 그 결과 서로 다른 경제적, 정치적 결과물을 달성했다. 정치적·경제적 결과물이 확인된 지금, 다시금 과거로 돌아갈 것이 아니라 달리 변화해 가는 미래를 바라볼 시점이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이후’를 의미하는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 Yugoslavia)’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는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정치나 경제 또는 언어 또는 문학에만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이후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가 주로 정치·경제 분야에만 관심을 기울여 왔지만, 지금부터는 그러한 학계의 연구 경향으로부터 사회·문화 분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그 일례로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공통된 문화의 단면과 발전 양상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retrospective work of political analysts studying “post-communism” issues has so far been limited to the study of each of the republics that were part of the Yugoslav federation. Now, more than 30 years after 1992, the study of “post-Yugoslavia” must move in the direction of examining the cultures of each of its members, bo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Slovenia, Croatia, Serbia, Bosnia-Herzegovina, Montenegro, North Macedonia, and Kosovo, the former members of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shared a common history of “Yugoslavia” and “Communism,” but they have already gone their separate ways for more than 30 years, resulting in different economic and political outcomes. Now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have been realized, it is time to look to a different future, not back to the past. “Post-Yugoslavia,” meaning “after the breakup of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and post-Yugoslav studies, meaning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Yugoslav federation,” are not terms limited to politics, economics, language, or literature as they have been.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more than three decades after the breakup of the former Yugoslavia, ‘Post-Yugoslavia’ studies have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spheres. It is time to shift the focus of scholarly research away from such tendencies and towards the social and cultural spheres, presenting as examples the common culture of the former Yugoslavia and its individual development after independenc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의 개념
3.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 무엇을 대상으로 해야 하는가?
4.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헌(Sang Hun Kim). (2024).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동유럽발칸연구, 48 (3), 3-24

MLA

김상헌(Sang Hun Kim).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동유럽발칸연구, 48.3(2024): 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