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엘리아데 소설 『천상에서의 결혼식(Nunta în cer)』에서 구현된 아이테르눔(Aeternum) 공간에서의 사랑
이용수 118
- 영문명
- Love in the Space of Aeternum, Embodied in Eliade’s Novel The Wedding in Heave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한성숙(Seong Suk Han)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3호, 147~1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종교학자이자 루마니아 청년 세대를 이끌었던 ‘새로운 세대’ 그룹의 중심인물로 불리는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 1986)의 초기 문학작품 『천상에서의 결혼식(1939)』을 통해 에로스와 절대적 영원의 공간인 아이테르눔에서의 구원을 살펴보고자 한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사랑의 불완전함은 주체의 육체적 성격과 관련이 깊다. 그는 루마니아어로 ‘사랑하다’라는 동사 a iubi의 반대말을 ‘삶을 산다’의 a trăi로 간주한 것처럼, 이 소설은 두 화자의 과거 회상을 통해 사랑의 양면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두 주인공 남자들은 자신의 생활에서 에로스는 이데아라는 초개인적 영원의 진리를 망각한다. 그렇기에 그들은 자신의 기억 속에 여성을 상기하는 행위는 사건들의 기억을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 대한 기억을 회복을 의미한다.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천상에서의 결혼식은 엘리아데에게 미로에서 탈출하는 길이자 자유로의 진입을 말하며, 루마니아 신화 ‘어린양’에서 죽는 순간에 찾아오는 신부처럼 자연의 대우주와 상응된다. 여기서 소설의 제목은 마브로딘이 창작한 소설의 제목과 같고 일생에 단 한 번 만나게 되는 필연적이고 비교할 수 없는 사랑을 상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엘리아데는 천상을 라틴어 아이테르눔이라는 단어로 사용하였는데, 자기 자신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 행위의 열매를 버리는 사랑은 우주적 인과율의 순환을 끊고, 우주적인 의미를 획득하는 구원을 의미한다. 천상의 에로스가 추구하는 이데아는 사랑이라는 행위로 도달하는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위로 향하는 공간에서 자신의 완성을 발견한다. 엘리아데에게 구원이란 참된 인식으로 가능해지는 일종의 존재론적 움직임이다. 인간이 얼마나 자기 고유의 존재를 발견하느냐에 따라 구원받는다. 하지만 인간의 모든 존재의 원천인 신을 인식하기 전까지는 스스로 존재에 도달할 수 없어서 사랑하는 사람을 통해 자기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고, 이는 구원에 이르게 되는 입문을 뜻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es two types of Eros, absolute space of eternity and love in the space of Aeternum through Eliade’s early novel The wedding in Heaven(1939). According to him the imperfection of love derives from main character’s corporeal aspect. As he assumes the verb love, a iubi in rumanian, is a antonym of the verb live, a trăi in rumanian, he determines the ambivalence of love through recalling his past.
Eros completes itself by soaring itself into aeternum and marriage through memory and reminding in frame novel. Aeternum is originated from greek ancient god of greek mythology Aether which means immortal breath of god on the contrary of man’s mortal breath. Love abandons one’s own ego into identifying itself with the beloved and marriage stands for the beginning, end, highlighting moment of man’s life in rumanian literature.
Marriage in heaven signifies escape from maze and entry into freedom in this novel and the death with the motif of Mioriţa(The Little Ewe Lamb) is a opportunity to ascend into aeternum and results into marriage. To be forgiven by Ileana he absorbs himself in novel and by doing this makes their love come true, he submits himself to universal creator and achieves marriage of Ileana's dream. Idea, which heavenly Eros seeks after through loving each other, discovers its harmonized status not in physical space but in ascending one. As Eliade asserts in his book Ordeal by Labyrinth the all possibilities to discover meaning of one’s existence indicates the possible salvation. Anyone who forgets one's ego and gives up one’s fruit of his actions, frees oneself from universal law of cause and effect and achieves salvation in aeternu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그들은 왜 사랑에 실패했는가?
3. 상기론적 관점에서 에로스 유형과 사랑의 부재
4. 아이테르눔 공간에서의 에로스 발현과 구원론적 기능
5.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방제재가 러시아 주요기업의 활동에 미친 영향 분석: 25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러시아 연방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 루마니아의 두 번째 유럽문화수도 티미쇼아라의 상징과 시사점
-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 탈(脫)경계적 공간에서의 소통 양상의 변화: 기술의 진보에 따른 새로운 언어접촉 양상
- ‘상실’과 ‘저항’: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에세이즘과 그 함의
- 엘리아데 소설 『천상에서의 결혼식(Nunta în cer)』에서 구현된 아이테르눔(Aeternum) 공간에서의 사랑
-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 기로에 선 ‘민주주의 섬’의 지도자: 베네쉬(Edvard Beneš)의 인식과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재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South Korea's Democracy at a Crossroads
- Korea Observer Vol 56, No 1 Contents
- South Korea-U.S. Relations in a New Era: Ideological and Structural Sources of Continuity and Chang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