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이용수 109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in Motifs in Szymborska’s Unpublished Early Poem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최성은(Sungeun Choi)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제48권 3호, 123~1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심안(心眼)을 바탕으로 대상의 참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노력하며 정제된 시어 속에 관조와 성찰을 담아내는 고유한 경지를 구축한 시인이다. 2014년에 출간된 『검은 노래(Czarna Piosenka)』는 시인이 쓴 젊은 날의 미공개작들을 모은 유고시집이다. 시인이 세상을 떠난 후 서랍 속에서 가장 젊은 시절에 쓴 초기작들이 원고 뭉치로 발견된 것이다. 이 시집이 복원됨으로써 1945년에 등단한 이래 1952년 첫 시집을 출간하기까지 시인의 이력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던 7년의 빈칸이 메꿔지게 되었다. 또한 ‘전쟁 세대’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제2차 대전에 관한 시들이 그동안 거의 발견되지 못한 이유도 밝혀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검은 노래』의 수록작들을 중심으로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들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와 주제 의식을 살펴보고, 후기작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영문 초록
Wisława Szymborska, winner of the 1996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a poet who perceives the true essence of objects through a penetrating insight, based on the mind’s eye. She established a unique style as a poet, characterized by concise yet clear language that encapsulated contemplation and introspection.
Published in 2014 The Black Songs (Czarna Piosenka) is a collection of unpublished poems from the poet's youth. After her death, a bundle of manuscripts was found in a drawer, containing her earliest works from her youth. The restoration of this collection fills the seven-year gap between her debut in 1945 and the publication of her first book of poetry in 1952. It has been also revealed why Szymborska’s poems about World War II, despite her belonging to the “the War Generation,” were scarcely published until now.
This paper examines the main motifs, images and themes of Szymborska’s unpublished early works, focusing on the works from The Black Songs and analyzes their connections to her later poem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유고시집 『검은 노래』의 출간 배경
3. 『검은 노래』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방제재가 러시아 주요기업의 활동에 미친 영향 분석: 25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러시아 연방의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 루마니아의 두 번째 유럽문화수도 티미쇼아라의 상징과 시사점
-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그리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Post-Yugoslavia)’ 연구를 위한 일례(一例)
- 탈(脫)경계적 공간에서의 소통 양상의 변화: 기술의 진보에 따른 새로운 언어접촉 양상
- ‘상실’과 ‘저항’: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에세이즘과 그 함의
- 엘리아데 소설 『천상에서의 결혼식(Nunta în cer)』에서 구현된 아이테르눔(Aeternum) 공간에서의 사랑
- 쉼보르스카의 미공개 초기작에 나타난 주요 모티브 연구
- 기로에 선 ‘민주주의 섬’의 지도자: 베네쉬(Edvard Beneš)의 인식과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재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