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사회 갈등 현상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
이용수 23
- 영문명
-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al Conflict Phenomen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성신형(Shinhyung Seo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39호, 7~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오늘 이 시대를 끊임없은 갈등과 폭력의 시대로 규정하면서, 갈등과 폭력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기독교 사회 윤리적 대안을 모색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갈등과 폭력의 현실을 분석한다. 한 사회의 갈등과 폭력은 혐오와 배제의 메커니즘을 만든 사회학적 원인과 철학적인 차원에서 인간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 그 원인이 있다. 한편 한국 사회가 특별하게 더 크게 드러내는 갈등과 폭력의 양상도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벌어진 세 개의 ‘묻지마 폭력’ 사건을 통해서 이를 분석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갈등과 폭력의 종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살핀다. 폭력의 종류는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실행 이전 단계부터 실행, 그리고 실행 이후 단계까지 계속해서 벌어진다. 한편 갈등과 폭력은 완전히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순기능을 이해하면서, 현실적인 차원에서 갈등과 폭력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러한 현실적인 대응을 위해서 본 연구는 현실주의적인 차원에서 기독교 윤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폭력의 윤리와 되기의 윤리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갈등과 폭력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기독교 윤리적인 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실천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fines this era as an era of constant conflict and violence and seeks Christian Social ethical alternatives for living in this era of conflict and violence.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conflict and violence in Korean society. Conflict and violence in society originate from sociological causes that create mechanisms of hatred and exclusion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uman identity at a philosophical level. Meanwhile, there are also aspects of conflict and violence that are particularly evident in Korean society, and this study analyzes these through three recent ‘do not ask violence’ incidents. Second, this study examines conflict and violence’s types, structures, and functions. Types of violence can be divided into direct,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nd the structure unfolds continuously from the pre-execution stage to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 post-implementation stage. Since conflict and violence cannot be elimina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positive functions and respond to them realistically. Lastly, for this realistic response, this study presents a Christian ethical alternative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ethics of reducing violence and the ethics of becoming. In this way, this study expects realistic practice at the level of Christian ethics for modern people living with conflict and violenc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갈등과 폭력의 원인
III. 폭력의 구조와 기능
IV. 갈등과 폭력 극복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V.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사회 갈등 현상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
- 19-20세기 전환기 서양에서의 인종론의 등장과 정치적 변용 - 사회다윈주의, 우생학, 인종 위생학을 중심으로
- 기독교세계관으로 씌여진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 연구
- 힐데가르트의 신비체험에 나타난 생태신학적 함의 - 창조와 구원의 비이원적 통전성을 중심으로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론: 확장된 교회로서 메타버스 교회(Metaverse Church)
- 구조와 방향에서 정사와 권세로 - 월터스의 『창조 타락 구속』의 비판적 독해
- 누가의 문학 장치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 시뮬라크르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자기 정체성 - 플라톤의 친부 살해 개념과 폴 리쾨르의 자기정체성 이론의접점에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권두언> 청년과 한국 교회의 미래 - 신학적 소명과 학문적 응답
-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128쪽.
- 예수와 청년들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와 청년과의 관계 연구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