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OEIC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 도입의 효과
이용수 183
- 영문명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in TOEIC Classes
- 발행기관
- 글로벌응용인문학회
- 저자명
- 양정원(Jung Won Y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제2권 2호, 87~1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을 고찰하고 TOEIC 수업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렌디드 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의 장점을 결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교육 방식으로, TOEIC 수업의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블렌디드 러닝 기반 TOEIC 수업 설계에 있어 개별화 학습 지원, 형성평가 강화, 협력 학습 촉진, 플립러닝 적용, 모바일 학습 지원 등의 전략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러닝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활동의 유기적 연계, 양질의 온라인 콘텐츠 개발, 교수자의 역량 강화 등이 필수적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의 대학 교육 혁신 방안으로서 블렌디드 러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설계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and to present a specific design plan for applying blended learning to TOEIC classes. Blended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nhances the learning effect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OEIC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rategies such as support for individualized learning, reinforcement of formative evaluation, promo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mobile learning support are effective in designing blended learning-based TOEIC classe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blended learning, organic linkage between online and offline learning activities, development of high-quality online content,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are essential.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blended learning as a way to innovate university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and seeking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plans.
목차
Ⅰ. 서론
Ⅱ.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
Ⅲ. 블렌디드 러닝의 TOEIC 수업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2권 2호 목차
- AI 시대 인문교양교육의 방향성
- Investigating the Role of Vocabulary Knowledge in L2 Writing Proficiency
- 문학공간의 관광 자원화와 지역 발전 방안 연구
- AI를 활용한 언어장벽 해소를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 Change in Management Paradigm in AI Era: Ap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s by Industry
- TOEIC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 도입의 효과
- 문학과 종교의 관계성 연구
- 현대 문화와 게임: 게임 속 영웅의 스토리텔링 연구
- 현대 사회의 고독과 『노인과 바다』
- PESTLE과 SWOT 방법론을 사용한 국내 유통업체의 성공 전략 도출: 이마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