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계 물순환을 고려한 유역 자연유출량 모의
이용수 11
- 영문명
- Natural Flow Simulation in a Baisin considering Artificial Water Cycl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시중(Choi, Sijung) 최윤석(Choi, Yunse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4호, 207~2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분포형 유출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지역화하고,
인공계 물순환을 고려한 자연유출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강 유역에 대한 물 수급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되는 인공계 물순환 관련 자료를 구축한 후 유출모형에서 모의된 자연유출량을 반영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
다. 충주댐 매개변수만을 활용하여 지역화한 결과와 충주댐과 소양강댐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지역화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두 경우 모두 관측유량을 잘 재현할 수 있었으며, 적합도 평가결과(반순별: NSE 0.919~0.977, KGE 0.795~0.937, CC 0.974~0.995)도
높게 나타났다. GRM 모형과 TANK 모형으로 산정된 자연유출량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모형 모두 관측자료를 잘 재현할
수 있었다. 모의시간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일별 분석결과가 반순별 분석보다 적합도 평가결과(일별: NSE 0.887~0.963,
KGE 0.792~0.928, CC 0.960~0.990)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 GRM 모형을 통한 자연유출량
모의는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으며 교란된 유역에 대해서도 충분히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regionalize the parameters of the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GRM) and simulate the natural flow considering
an artificial water cycle. We established a water supply and demand network for the Han River basin, derived data related to
the artificial water cycle through various organizations, and performed a water budget analysis by reflecting the simulated natural
flow.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regionalization using only the Chungju Dam parameters and those using the 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parameters, both results for the simulated flow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flow, and the
fitness evaluation results were also high (pentad: NSE 0.913–0.977, KGE 0.795–0.935, CC 0.974–0.995). The natural flow simulated
by the GRM and TANK indicated that both models were able to reproduce the observed data well. Water budget analyses were
performed for different time intervals, and daily analysis exhibited relatively lower fitness than pentad analysis (daily NSE 0.887-0.963,
KGE 0.792-0.928, CC 0.960-0.990),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mulation of natural
flow through the GRM was appropriate, and the model was sufficiently applicable to a disturbed watersh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 재난의 대응을 위한 시민안전의식 영향요인 분석
- 드론 RTK 정확성 검토를 통한 하천측량 시 GPS-Base 대체 가능성 분석
- 학교 기숙사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
- 노후설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내용연수 개선방안 연구
- 북한 황강댐 영향을 고려한 임진강의 용수부족량 산정
- 지역 특성 반영 지진화재위험도 평가를 위한 위험지표 개발
- 토지피복과 건물 유무를 고려한 돌발 홍수에 대한 FLUMEN 및 HEC-RAS 2D 모형 비교
- 해안 침수로 인한 산업 시설의 직⋅간접 피해 추정: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 대피시간 및 대피가능 범위 산정
- 단부감소형 프리플렉스 거더 개발에 관한 연구
- OpenGeoSys를 이용한 해안 지역에서의 농업용 관정 이용가능성 평가
- 방열보호복의 중간층 원단 조직 구성 변화에 따른 열방호 성능평가 실험연구
- 학교 급식실 소형 LPG 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위험성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 4호 목차
- 폭발 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기반 폭발 손상 평가
- 최근접 이웃 탐색 기법을 활용한 일 단위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시간 단위 상세화 기법: 낙동강 유역 사례 연구
- 전기차 충전소 화재 사고 대응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복합사고 경감을 위한 안전사업지구 선정지표 및 가중치 개발
- 전국 급경사지 실태조사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연구
- 전통시장의 화재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IT 거더의 철도교량 동적특성에 관한 연구
- 장지간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변형실측을 통한 뒤채움재 적용성 평가
- 유효응력 해석법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지역 액상화 평가
- D-P-S-I-R 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폭염 취약성 분석
- 머신러닝기반의 연안 복합홍수위산정 모형을 이용한 계획홍수위 검토에 관한 연구
- 인공계 물순환을 고려한 유역 자연유출량 모의
- 태화강 유역의 연안 복합홍수 발생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 자연하천의 드론영상 활용 홍수관리 데이터 취득과 수리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