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머신러닝기반의 연안 복합홍수위산정 모형을 이용한 계획홍수위 검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Evaluating Design Flood Levels Using a Machine Learning-based Costal Compound Flood Level Mode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경훈(Kim, Kyunghun) 백선욱(Baek, Seonuk) 김덕길(Kim, Duckgil) 김형수(Kim, Hung S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4호, 185~19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안홍수는 강우와 조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복합재난의 한 종류인 복합홍수로 정의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연안지역의 계획홍수위 산정에 있어 강우와 조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조위별 평균 수위값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조위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머신러닝기반의 복합홍수위 산정 모형을 개발하여
대표적 감조하천 유역인 태화강유역의 계획홍수위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을 개발하기 전에 복합홍수위를 구성하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이산형 웨이블릿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복합홍수위가 강우-유출, 조위, 잡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별된 구성 성분들을 입력자료로 하는 장단기 기억(Long Short Term Memory, LSTM) 모형을 개발하여
태화강의 설계빈도인 200년 빈도의 복합홍수위를 산정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통해 산정된 복합홍수위는 6.15 m로 기존에
수립된 태화강의 계획홍수위(5.79 m)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태화강의 홍수방어대안들이 복합홍수에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안지역의 계획홍수위 산정 시에 복합홍수의 적용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Coastal floods, a type of compound disaster, results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rainfall and tides. However, in Korea, the design
flood level for coastal areas typically relies on the averag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tide, ignoring this interaction.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is gap by developing a machine learning-based compound flood level model that incorporates the interactions
between rainfall and tides. It also evaluated the adequacy of the design water level in the Taehwa River basin, a representative
tidal river. Before developing the model, Discrete Wavelet Transformation (DWT) was us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compound
flood level. The DW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und flood level comprised three elements: rainfall-runoff, tides, and noise.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was then created using these elements as input to estimate the compound flood level
for a 200-year frequency, which is the design frequency of the Taehwa River. The compound flood level calculated by the model
was 6.15 m, which is higher than the established design flood level of the Taehwa river (5.79 m). This discrepancy indicates that
the current flood measurements for the Taehwa River are inadequate in accounting for compound flood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incorporating the compound flood concept when calculating the design water levels in coastal area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 재난의 대응을 위한 시민안전의식 영향요인 분석
- 드론 RTK 정확성 검토를 통한 하천측량 시 GPS-Base 대체 가능성 분석
- 학교 기숙사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
- 노후설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내용연수 개선방안 연구
- 북한 황강댐 영향을 고려한 임진강의 용수부족량 산정
- 지역 특성 반영 지진화재위험도 평가를 위한 위험지표 개발
- 토지피복과 건물 유무를 고려한 돌발 홍수에 대한 FLUMEN 및 HEC-RAS 2D 모형 비교
- 해안 침수로 인한 산업 시설의 직⋅간접 피해 추정: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 대피시간 및 대피가능 범위 산정
- 단부감소형 프리플렉스 거더 개발에 관한 연구
- OpenGeoSys를 이용한 해안 지역에서의 농업용 관정 이용가능성 평가
- 방열보호복의 중간층 원단 조직 구성 변화에 따른 열방호 성능평가 실험연구
- 학교 급식실 소형 LPG 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위험성 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 4호 목차
- 폭발 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기반 폭발 손상 평가
- 최근접 이웃 탐색 기법을 활용한 일 단위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시간 단위 상세화 기법: 낙동강 유역 사례 연구
- 전기차 충전소 화재 사고 대응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복합사고 경감을 위한 안전사업지구 선정지표 및 가중치 개발
- 전국 급경사지 실태조사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연구
- 전통시장의 화재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IT 거더의 철도교량 동적특성에 관한 연구
- 장지간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변형실측을 통한 뒤채움재 적용성 평가
- 유효응력 해석법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지역 액상화 평가
- D-P-S-I-R 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폭염 취약성 분석
- 머신러닝기반의 연안 복합홍수위산정 모형을 이용한 계획홍수위 검토에 관한 연구
- 인공계 물순환을 고려한 유역 자연유출량 모의
- 태화강 유역의 연안 복합홍수 발생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 자연하천의 드론영상 활용 홍수관리 데이터 취득과 수리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