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비원어민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특징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CK of native Chinese speaking Korea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은경(Oun-Kyung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7권 1호, 127~1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연구로서 교사 전문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내용교수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소개하고, 비원어민 교사의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개발한 범교과별 내용교수지식 분석 틀을 한국어 교육에 맞게 수정하여 분석준거를 마련하였다. 연구 대상은 KFL 상황인 중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족교사 1인(A교사)과 조선족 교사 1인(B교사)이며, 수업녹음, 강의안, 학습 보조자료 및 두 차례에 걸친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교사별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교사의 PCK를 분석해 본 결과 교수학습 방법 면보다는 교과내용 재구성 부분이 잘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비원어민 교사로서 학습자 배경을 반영한 학습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의 차이점으로는 한족인 A교사와 조선족인 B교사가 인식하는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학습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두 교사의 학습 목표 설정에 따른 교과 내용 구성은 교사 개개인의 지식, 학습 경험 등을 통합하여 교사만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구성하기에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s a means to improve teaching methodology, I will introduc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 well as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based on PCK. Lastly, I will suggest how to utilize PCK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 native Chinese speaking Korean teacher(subject A) and a Chinese of Korean heritage teacher(subject B) teaching Korean language in China. Throughout this research I was able to observe various PCK properties through recordings, transcripts of lectures and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ll subjects were knowledgable, but in regard to pedagogical Knowledge were vice versa. And in the case of knowledge of learners subject A and B tended to make positive atmosphere because of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backgrounds. Additionally, it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ubject A and subject B over their thoughts about Korean language itself. And this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could effect learner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내용교수지식(PCK)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