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기조절전략과 자율학습능력 간의 상관관계 -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7

영문명
Correlations between self-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cussing Chinese learners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노복동(Bok-Dong Noh)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7권 1호, 97~12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류열풍으로 인해 한국으로 유학 온 중국인 학생 수가 대폭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20대 초반으로 자신을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게다가 하루에 4시간만 수업을 받기 때문에 교사는 학습자가 여가시간에 효율적으로 한국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자율학습능력을 키워 주어야 한다. 학습자의 자율학습능력을 키우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동기요소가 자율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조절전략이 자율학습능력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동기조절전략의 하위 전략별로 자율학습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기조절전략에 속하는 8가지 하위 전략은 모두 자율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중에서도 흥미제고전략이 자율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고 의지조절전략과 표현목표환기전략의 영향이 가장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교사는 수업시간에 학습자가 흥미제고전략을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impact of South Korean culture, more and more foreign students are studying abroad in South Korea. Most of these students are in the age of early twenties. Weak self-constraint ability of students in this age group, coupled with the students' study of Korean for only four hours a day, means teachers must guide students to learn how to become more effective after school, a time that should develop the students' self-learning ability. In order to foster students' self-learning ability, a number of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Motivational factors in particula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self-learning ability. This article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students' motivation adjustment strategies and their self-learning ability. It submitted 8 assumptions on which the hypothesis was tested with the regression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8-point assumptions were established, but interested in promoting strategies had the largest impact on developing self-learning ability. Therefore, teachers in the classroom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use the interest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self-learning ability.

목차

1. 서론
2. 동기조절전략과 자율학습능력
3.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4. 동기조절전략과 자율학습능력의 상관관계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복동(Bok-Dong Noh). (2013).동기조절전략과 자율학습능력 간의 상관관계 -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문화교육, 7 (1), 97-126

MLA

노복동(Bok-Dong Noh). "동기조절전략과 자율학습능력 간의 상관관계 -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문화교육, 7.1(2013): 97-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