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의 음향적 특성

이용수 6

영문명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Affricate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노미숙(Mi-sook Noh)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7권 1호, 75~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가 어두와 어중에서 발화한 파찰음을 다양한 음성학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에 대한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어두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으로 마찰 구간의 길이와 후행 모음의 음높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중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분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이 후행 모음의 음높이, 마찰 구간의 길이, 폐쇄지속시간이다. 그러므로 어두 초성 파찰음과 어중 초성 파찰음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세 자음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ffricate uttered by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in word-initial and medial from diverse points of view and then examined the appearance and cause of the difference. First, in the word-initial syllable-initial affricate, it is found that an length of the friction period and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are an important clue to distinguish between las,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In the word-medial syllable-initial affricate, the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a length of the friction period and closure duration are an important clue to distinguish betwee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that three consonants can be distinguished in consideration of these features of the word-initial syllable-initial and word-medial syllable-initial affricate.

목차

1. 서론
2. 파찰음의 음향적 특성에 관한 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