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다독 후 독서일지 쓰기 활동의 효과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journal writing as an activity after extensive reading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Writing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아름(A-reum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5권 2호, 151~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학문 습득에 필요한 읽기와 쓰기의 중요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 가운데 특히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교수는 문법 항목과 쓰기 전 활동에 치중되어 있어 총체적인 쓰기 학습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읽기와 쓰기 학습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교실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자발적인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독 후행 활동으로서의 독서일지 쓰기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효과적인 쓰기 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안되어 왔던 다독과 다독 후행 활동의 하나인 독서일지 쓰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검증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journal writing as an activity after extensive reading as one of method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as well as air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writi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ty the effects of journal writing on the Korean writing ability.
The reading journal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s on writhe ability improvement.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ability between the extensive reading and reading journ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nalytic evaluation and content category.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a result of before and after record comparison within the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in the aspects of content, organization, grammar and vocabulary in the indirect evaluation and general evaluation and analytic evaluation. In general, considered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extensive reading and reading journal generally brought about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writing ability. This study has meanings in the points that it experimented on and verified the direct effects of the reading journal influenci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and confirmed through experiment that the reading journal actually raised the writing performance ability of learners.
목차
1. 서론
2. 다독과 독서일지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독서일지 쓰기의 효과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