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대화일지 쓰기 연구 -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Dialogue Journal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eacher Feedback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정(Su-jeong Kim) 성진숙(Jin-sook S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5권 2호, 37~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Dialogue journal is written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 Learners choose any topic which is interesting to them and freely write on the topic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making grammatical errors. And a teacher writes responses to learners' entries focusing on content rather then errors and corre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ialogue journal writing with the type of teacher feedback, and then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skills and writing self-confidence, anxiety, pressure. During the eight weeks, 15 intermediat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n compared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dialogue journal writing shows positive effects on writing apprehension.
목차
1. 들어가기
2. 이론적 바탕
3. 실험 연구
4. 연구 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