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정보이해능력, 우울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7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Digital Literacy, Health Literacy, Depression on Nursing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
- 저자명
- 남혜리(Hye Ri Nam) 이예린(YR Lee) 박현동(HD Park) 이현채(HC Lee) 이영채(YC Lee) 김예빈(YB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제1권 제2호, 77~8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gital literacy, health literacy, depress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health-promoting behavior. Method :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May 27 to June 10, 2024. Nursing students were provided with an explanation of the study and, upon consent, were given a survey URL. A total of 16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health literacy, depress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in health-promoting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followed by post-hoc analysis with the Scheffe test. Relationships among digital literacy, health literacy, depress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were examin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ng behavior. Results :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ng behavior included academic year dummy variable b (β=.14, p <.001), subjective health status dummy variable b (β=.51,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dummy variable c (β=.16, p=.003), health literacy (β=.55, p<.001), and depression (β=-.20, p=.003). Conclusion :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54.6% (F=25.16, p<.001). To enhance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subjective health, improve their ability to discern and understand health information, and consider their emotional state through tailored education program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 제1권 제2호 목차
- 국내 전문간호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14년∼2024년)
- 간호와 융합에 대한 간호대학생 인식 연구(내용분석접근방법으로)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정보이해능력, 우울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농촌 지역사회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 교육의 융합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주제문헌 고찰
- 간호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 ERROR LAB을 활용한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AI 의료시스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