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의료시스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이용수 162
-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Medical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
- 저자명
- 이현예(Hyun Ye Lee) 김한별(Han Byeol Kim) 정희주(Hee Joo Jung) 김서영(Seo Young Kim) 한서현(Seo Hyun Han) 김예나(Ye Na Kim) 박선정(Sun Jung Park) 김유미(Yu M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제1권 제2호, 67~7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AI medical system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AI medical systems. Method :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nalyzed papers related to AI medical system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17 to January 2024. The main key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AI medical’ and ‘AI medical system’, and a total of nine papers were analyzed. Results : Upon reviewing the number of research publications per year, it was found that five papers (55.6%) were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1, the highest number. This was followed by two papers (22.2%) each for the periods 2017 and 2024. All studies were designed as quantitative research. The main keywords included medical AI technology, medical big data, AI technology, core technologies for medical AI, medical robots,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of medical service robots, AI technology for predicting cancer prognosis based on medical imaging, AI IoT application services for senior health management in the community, healthcare big data, and the development of AI-based elderly care services. Conclusion :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potential of AI medical system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addressing these challenges and maximizing the potential of AI medical systems. Through this, AI technology is expected to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medical fiel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 제1권 제2호 목차
- 국내 전문간호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14년∼2024년)
- 간호와 융합에 대한 간호대학생 인식 연구(내용분석접근방법으로)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정보이해능력, 우울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농촌 지역사회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 교육의 융합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주제문헌 고찰
- 간호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 ERROR LAB을 활용한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AI 의료시스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