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전문간호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14년∼2024년)
이용수 176
- 영문명
- Trend Analysis of Research on Advanced Practice Nurse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
- 저자명
- 박선정(Sun Jung Park) 황예인(Ye In Hwang) 김보경(Bo Kyung Kim) 박해민(Hae Min Park) 곽근혜(Keun Hye Kwak)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제1권 제2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omoting the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Method :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nalyzed articles on advanced practice nurs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14 to 2024. Results : Key topics related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South Korea include delegation intent (2 articles, 8%), experienc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2 articles, 8%), and the following topics, each represented by one article (4%): perception of legalizing advanced practice nurse roles, factors influencing political competence, impact on clinical nurses' perception, examination of future prospects, leadership experiences, impact on spiritual nursing practices,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in clinical practice, studies on structuring advanced practice nurse specialties, impact on self-concept, legal consistency studies, nursing law proposals, legal issues in proposed amendments, current status and vitalizing strategies, job experiences, roles, qualitative analysis of counseling content,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asks, patient satisfaction, curriculum comparison, comparison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on effects of role clarity. Conclusion : Considerable attention and research are required to ensure the stable activation of the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allowing for individualized care and high-quality healthcare services to be provided to patien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건강간호융합학회지 제1권 제2호 목차
- 국내 전문간호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14년∼2024년)
- 간호와 융합에 대한 간호대학생 인식 연구(내용분석접근방법으로)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정보이해능력, 우울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농촌 지역사회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 교육의 융합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주제문헌 고찰
- 간호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 ERROR LAB을 활용한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AI 의료시스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