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윤부유피종 환자에서 수술 전후 난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Changes in Astigmatism after Surgery in Pediatric Patients with Limbal Dermoid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시영(Si Young Kim) 이주연(Ju-Yeun Lee) 권지원(Ji-Won Kw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5,number7, 417~4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소아 윤부유피종 환자에서 수술 전후 시력 및 난시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윤부유피종으로 진단받은 소아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고 조절마비굴절검사, 자동굴절검사 및 각막지형도를 이용하여 난시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조절마비 후 현성굴절검사 및 자동굴절검사를 통한 난시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3, p=0.38). 하지만 각막지형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각막난시의 변화는 3.6 ± 2.8 diopters (D)에서 2.7 ± 1.8 D로, 불규칙난시는 3.7 ± 2.2 D에서 2.5 ± 1.5 D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p<0.001). 각막 불규칙 지표는 0.14 ± 0.10에서 0.08 ± 0.47로, 각막표면분산지수는 60.56 ± 41.02에서 35.00 ± 16.00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p<0.001, p<0.001). 최대교정시력은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0.18에서 logMAR 0.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력 개선이 있었다(p<0.05).
결론: 소아 윤부유피종 수술 후 유의하게 불규칙난시가 줄어들고 최대교정시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적극적인 약시 치료를 통해 시력 발달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changes in astigmatism and visual acuity in pediatric patients with limbal dermoid before and after surgery.
Methods: Twenty-five pediatric patients (7 male, 18 female) diagnosed with limbal dermoid from March 2018 to February 2022 were included. We analyze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astigmatism using cycloplegic refraction, automated keratometry, and topography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In cycloplegic refraction and automated keratometry, postoperative astigmatism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p = 0.53 and p = 0.38, respectively). Topograph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rneal astigmatism from 3.6 ± 2.8 diopters (D) to 2.7 ± 1.8 D (p < 0.05) and in irregular astigmatism from 3.7 ± 2.2 D to 2.5 ± 1.5 D (p < 0.001). Significant decreases were observed in the corneal irregularity index from 0.14 ± 0.10 mm to 0.08 ± 0.47 mm (p < 0.001) and in the index of surface variance from 60.56 ± 41.02 to 35.00 ± 16.00 (p < 0.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from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0.18 to logMAR 0.07 (p < 0.05).
Conclusions: Surgery for limbal dermoid significantly reduced irregular astigmatism and improve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It is suggested that achieving visual development through active amblyopia treatment after surgery is importan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브롬페낙 점안 시 1년간 임상 경과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 치료 저항성과 연관된 초기인자 연구
- 소아 윤부유피종 환자에서 수술 전후 난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후 발생한 비전형적 거대세포바이러스 각막내피염에 대한 1예
- 한국인 환자 대상 특발두개내압상승의 임상적 특징 및 시력 예후: 단일 의료기관 분석
-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 및 황반부 구조 분석에 백내장이 미치는 영향
-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소실성다발흰점증후군 2예
- COVID-19 mRNA 백신 주사 후 발생한 압박시신경병증을 동반한 전격 외안근염 1예
-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 후 난시공막렌즈를 이용한 내부 난시의 교정
- 한 가족 3명에서 발생한 스티클러 증후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