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아카이브 활동을 통한 마을공동체 성장에 대한 연구
이용수 170
- 영문명
- A Study on the Growth of Communities through Village Archive Activities: Focusing on Haebangchon in Yongsan
- 발행기관
- 숙명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송안나(Anna Song)
- 간행물 정보
- 『횡단인문학』제17호, 239~27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속한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공동체의 모습을 상실하고 개인의 안위를 더 중시하는 분위기가 팽배해지며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2000년대부터 정부차원의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역에 대한 애착심 고양과 주민의 주체적인 활동 참여를 독려하는 방안 중 마을아카이브 활동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용산구 해방촌 일대에서의 마을아카이브 활동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정서・인지・행동 변화를 통한 마을공동체의 성장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조사는 문헌연구, 참여관찰,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해방촌의 아카이브 활동은 소규모의 마을공동체 모임을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소속감, 친밀감 등 공동체 의식과 자기효능감, 대인 간 관계 향상, 지역에의 관심 등 공동체 역량이 향상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마을아카이브 활동이 기록 그 자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를 경험하는 일상 사람들의 이야기와 의미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Korea has lost its appearance as a community and an atmosphere that places more importance on individual safety has spread,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growth of the village community was examined through changes in emotion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village archive activities in the area of Haebangchon in Yongsan-gu, Seoul.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stud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archiving activities of Haebangchon are holding independent meetings based on village community meetings, and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capacity were improved. In addition, meaningful archiving activities to ‘themselves’ turned out to be important by asking various questions, rather than aiming at the resources they archiv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대상 및 방법
4.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아카이브 활동 경험에 대한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횡단인문학 제17호 목차
- 서울가정법원의 소년법원적 기원과 비인간화의 기술
- 인식틀 전환의 화용론적 효과
- 할리우드 SF 영화 속 반-아시아 인종주의 담론 비판
- Transformation and Education to an Inclusive Community from Hegel’s Dialectical Perspective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소설 「철도원」에 나타난 이항 대립적 구도와 그의미연구
- 한국어교육 전공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성
- 둘만의 에고이즘
- 마을아카이브 활동을 통한 마을공동체 성장에 대한 연구
- 게이 뮤직비디오, 게이 포용과 재현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