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가정법원의 소년법원적 기원과 비인간화의 기술

이용수 170

영문명
The Origins of the Seoul Family Court as a Juvenile Court and Techniques of Dehumanization: Focusing on “Therapeutic Justice” as Applied to Juvenile Delinquency and Divorce Mediation
발행기관
숙명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대현(Daehyun Kim)
간행물 정보
『횡단인문학』제17호, 101~14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울가정법원은 서울지방법원 소년부지원의 후신으로 1963년 10월 1일 창립되었다. 서울가정법원은 소년사건에 대한 조사와 가사사건에 대한 조사·조정(調停)을 가정법원의 주요 원칙으로 간주하였다. 이는 범죄를 저지를 개연성이 있는 ‘우범소년’ 등을 처벌하는 소년법원의 지식·제도와 각 학문을 동원한 비인간화의 기술이 가정법원의 체제 아래정당화되었음을 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가정법원 조정위원들은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규범과 통제를 확대하는 ‘치료적 사법’의 역할을 자임하고, 관련 내용을 사회에 지속적으로 발신하였다. 이러한 ‘치료적 사법’은 공법(公法)적 개입과 사법(私法)적 개입을 넘나드는 것이었고, 이는 주로 가사사건 판결을 통한 사실혼 규범의 재구성과 이성애 정상가족규범의 강화를 통해 현실화되었다. 개인의 자기결정성을 인정하지 않는 이러한 비인간화의 기술은 당대 한국의 이성애자와 동성애자 모두를 아우르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e Seoul Family Court was established on October 1, 1963 as the successor to the Juvenile Branch Court of the Seoul District Court. The Seoul Family Court considered the investigation of juvenile cases and the investigation and mediation of family cases as the main principles of the family court. This meant that the knowledge and system of the juvenile court, which punished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techniques of dehumanization using various disciplines were justified under the system of the family court. In this way, the mediators of the Seoul Family Court assumed the role of “therapeutic justice,” which expanded social norms and control over the family and continuously disseminated relevant content to society. This “therapeutic justice” was a combinati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vention, realized primari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common-law marriage norms and the reinforcement of heterosexual normal family norms through family court decisions. This technique of dehumanization, which does not recognize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individual, encompassed both heterosexuals and homosexuals in Korea at that time.

목차

1. 들어가며
2. 소년법원의 후신으로서 가정법원의 설치
3. 가정법원 조사관·조정위원 제도
4. 서울가정법원 담당 가사사건과 사실혼 규범의 재구성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현(Daehyun Kim). (2024).서울가정법원의 소년법원적 기원과 비인간화의 기술. 횡단인문학, (), 101-144

MLA

김대현(Daehyun Kim). "서울가정법원의 소년법원적 기원과 비인간화의 기술." 횡단인문학, (2024): 101-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