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5·18 Literary Discourse Development and Assignment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저자명
- 심영의(Youngeui Shim)
- 간행물 정보
- 『국제문화연구』Vol.17 No.1, 73~1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remembering May in the May 18 novels of Gong Seon-ok, who clearly reveals his identity as a writer, and Park Sol-moe, a young writer of the generation after 1980, who novelizes the May 18th from his debut work to his latest work. do. In the tragic drama of ‘5·18’, perpetrators, victims, and observers basically appear. The guilty conscience of the perpetrator or the survivor has a different degree, but there is an excessive suspicion. In particular, in Gong Seon-ok’s 5·18 novels, onl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stands out, and there is no space to mediate them other than the rule that perpetrator and victim are good and evil. Park Sol-moe presents a text that is very important in contemplating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n literature ‘after 5·18’, an ethical ethos that goes beyond one's own pain to the pain of others, that is, a human being who remembers, testifies to, and solidarity with the pain of others. This article argues that in order for future May 18th novels to have vitality based on readers empathy, it is required to actively seek other orientation beyond sadnes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 문학은 슬픔 너머로 나아갈 수 있을까
Ⅱ. 자기 처벌로서의 죄의식과 애도의 불가능성
Ⅲ. 분유(分有), 기억을 나누어 갖는 것
Ⅳ. 결론 : 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문화연구 Vol.17 No.1 목차
- 크로아티아 ‘정치체제 전환’의 의미와 교육의 변화에 미친 영향
- 의암별제의 창설 의도와 성격 규명 논고
- 漢字의 발전과정에서 살펴 본 秦隸의 來源考
- 국내 간행 한문 문법서의 부사 연구 변천사 고찰
- 글로컬 교육개혁을 통한 지방분권균형발전정책 동향분석
- 面向韩国留学生的汉语数量补语下位类型多 样性及教学重难点分析
- 5·18 문학 담론의 전개와 과제
- 보육교사의 건강 의식, 건강생활 습관, 건강신념, 감염병 예방실천 인식의 구조적 관계
-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법적 검토
- 冯惟敏散曲用韵研究
- 세계시민교육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역량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참여 즐거움과 학교생활 만족 및 심리적 안정의 구조적 관계
- 중국 여성의 저출산 쟁점과 육아지원 정책 분석
- Семантическая структура слова «глаз/눈(нун)» в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