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지원을 위한 6Y Coaching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llow-up Effects of a 6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소희(So-Hee Lee) 송금자(Geum-Ja Song) 김경미(Kyung-Mi Kim) 박현정(Hyun-Je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8 No.4, 625~6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ollow-up effects of a 6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irs-stage verification research, which developed the organization of a basic coaching program to help understand and utilize coaching skills easil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two research issues. Firstly, does a professional group show follow-up effects after participating in a 6Y coaching program? Secondly, does mothers group show follow-up effects after taking 6Y coaching program?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method and procedure. The first study revealed the efficacy of a 6Y coaching program in 20 professionals and mothers. This study verifies the sustainability of a 6Y coaching program by conducting a follow-up test after 6-7 months with the same 17 professionals and 18 mother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Coaching Capacity Evaluation Sheet was used to check the effect of a 6Y coaching program,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out the utilization effect of a 6Y coaching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 was also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group sustained listening skills and the mothers group maintained their listening skills, motivation skills and acknowledgment and celebration skills as an effect of the 6Y coaching program.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revealed that the skills acquired from a 6Y coaching program are used in counseling and daily lif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와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퇴직자의 사회적 관계유형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육아지원 전달체계로서의 시군구보육정보센터의 역할과 개선방안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지원을 위한 6Y Coaching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 및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에니어그램을 주제로 한 연구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부모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특성 분석
-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