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upervision Styles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Centers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고주애(Ju-Ae Ko) 이소희(So-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8 No.4, 539~5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pervision styles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centers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ors. Data was collected from 28 supervisors of social welfare center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by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enneagram personality tests were taken, and the contents of record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In this analysis, the styles of the supervisors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were clarified on the basis of their common features as follows. Firstly, the supportive style or heart center st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upervisee; it includes the helper-, facilitator-, and reflector-styles. Secondly, the supervisors exhibiting the education style or head center teach and guide their supervisees; the analyst-, guidance-, and energizer-styles would be included in this category. Thirdly, the administering style or body center stresses the plan, practice, and harmony of organization management; it includes the directive person-, mediator-, and planner-sty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퇴직자의 사회적 관계유형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육아지원 전달체계로서의 시군구보육정보센터의 역할과 개선방안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지원을 위한 6Y Coaching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 및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에니어그램을 주제로 한 연구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부모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특성 분석
-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