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Effects of Lifestyle o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주성(Joo-Sung Kim) 최수일(Soo-I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3, 97~1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노후준비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연령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0대 이상의 중․노년층 586명이고,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은 건강 및 여가 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 추구, 그리고 보수적 가족추구로 구분되었고, 노후준비도의 하위요인은 신체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 및 경제적 노후준비로 나뉘어졌으며, 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은 긍정적 삶의 만족도, 부정적 삶의 만족도 및 자기가치로 분류되었다. 둘째, 건강 및 여가추구와 보수적 가족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쳤고, 외향적 도전추구와 보수적 가족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었으며, 건강 및 여가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라이프스타일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사회적 및 경제적 노후준비는 긍정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고, 경제적 노후준비가 부정적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사회적 노후준비는 부정적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자기가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체적 노후준비는 자기가치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에 따라서는 건강 및 여가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라이프스타일에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노후준비, 긍정적 삶의 만족도, 부정적 삶의 만족도 및 자기가치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lifestyl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ir respective differences with an age bracket. For the study, 58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old-aged individuals and each statistical data point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with SPSS17.0. Lifestyle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factors: health, leisure pursuit, outgoing challenge pursuit, safety and materialistic pursuit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pursuit. The subfactors of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reparation. Life satisfaction was classified by the subfactors of negative and positive life satisfaction and self-worth.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health and leisure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had an effect on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outgoing challenges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influence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In addition,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health and leisure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had an effe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Second,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influenced positive life satisfaction while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ha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prepar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life satisfaction. ef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worth while physical preparation negatively influenced self-worth. Finally, we found several differences in lifestyle,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positive and negative life satisfaction and self-worth among different age demograph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