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차별주의와 피해자 의식이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Impact of Sexism and Victimhood on Perceptions of Women’s Policies: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Competitive Victimhood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 저자명
- 석승혜(Seung Hye Seok)
- 간행물 정보
- 『사회통합연구』Vol. 5, No. 1,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젠더갈등은 ‘역차별의 피해자’로서 남성이라는 담론을 중심으로 남성이 ‘사회구조적 피해자’로 호명되었던 여성과 대립하는 구도를 보이고 있다. 남녀는 서로가 더 큰 피해자임을 주장하면서 정치무대에 등장해 여성정책을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을 이어간다. 이에 본 연구는 젠더갈등에서 경쟁적 피해자 의식이 구축되는 상황에 주목하며, 남녀 집단의 피해자 의식이 여성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양가적 성차별주의(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와 여성정책 사이를 피해자 의식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남녀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해 전국 20∼65세의 남녀 1,0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차별주의가 여성정책에 미치는 직접 경로는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여성정책을 특혜로 인식한다.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남성에게만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는데,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여성정책을 배려라고 인식했다. 둘째, 피해자 의식이 성차별주의와 여성정책을 매개하는 간접경로는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경우에 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남성 피해자 의식을 높임으로써 여성정책이 특혜라는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적대적 성차별주의는 남성 피해자 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지만, 여성 피해자 의식을 낮춤으로써 여성정책이 특혜라는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해자 의식이 온정적 성차별주의와 여성정책을 매개하는 경로는 유일하게 여성의 경우에만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 피해자 의식을 높임으로써 여성정책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여성정책에 대한 입장은 성차별주의가 서로 다른 피해자 의식을 경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남성의 역차별 담론은 “이미 남녀가 평등한 세상”을 전제하고 있지만, 실제 남성 피해자 의식은 남녀의 권력을 위계화한 적대적 성차별주의에 의해 촉발된다. 즉, 남성 피해자 의식은 지금까지 누려왔던 특권의 상실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다 진전된 형태라고 여겨지는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여성정책에 있어 여성 피해자 의식과 남성 피해자 의식과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적대적 성차별주의를 내면화한 여성들이 여성 피해자 의식을 통해 여성정책에 부정적인 남성의 입장과 동일화함으로써 여성 내부의 분열이 야기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gender conflict has centered on the discourse of men as “victims of reverse discrimination”,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young men are in conflict with women as “victims of social structure”. Men and women appear on the political stage, claiming that each other is the bigger victims, and continue to have a sharp conflict over women's polic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ituation in which competitive victimhood is established in gender conflict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impact of women's policies on the victimhood of men and women group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ere compared on how victimhood mediates between ambivalent sexism(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and women's policy.
For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018 men and women aged 20 to 65 nationwid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onse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the direct path of sexism on women's policy. Both men and women perceive women's policy as a preferential treatment as hostile sexism is higher. Only me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passionate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higher the benevolent sexism, the more considerable women's policy wa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rect path through which victimhood mediates sexism and women's policy only in the case of hostile sexism. In the case of men, hostile sexism was found to raise the perception that women's policy is a preferential treatment by increasing male victimhood. In the case of women, hostile sex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le victimhood, but it was found that by lowering female victimhood, women's policy was a preferential treatme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y path through which victimhood mediates benevolent sexism and women's policy is that benevolent sexism has a positive effect on women's policy by increasing female victimhood only in the case of wome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sexism is passing through different victim perceptions of men and women's positions on women's policy. The current discourse of reverse discrimination among men presupposes “a world where men and women are already equal,” but in reality, male victimhood is triggered by hostile sexism that hierarchizes the power of men and women. In other words, male victimhood is related to the loss of privileges that have been enjoyed so far. In addition, paternalistic sexism, which is considered to be a more advanced for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victimhood and male victimhood in women's policy. Rather, women who have internalized hostile sexism identify with men's negative stance on women's policies through a sense of female victimhood, causing division within women.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론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ial exercise environment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stitution of elderly in Chongqing communities
- Probiotic foods in children’s nutrition and growth: a review
- A qunitative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ethnic music and its impact on identity in Yunn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