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시대 한국의 통상외교 전략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2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Trade Diplomacy Strategies in the age of AI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박현용(Hyun-Yong Park)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6권 제2호, 179~1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I 기술은 기업들에게 업무 효율화, 비용 절감, 신속·정확한 의사결정 및 문제 대응 능력 강화라는 장점이 있지만 사회·국가적으로는 구조적 실업 고착화, 부의 불균형을 통한 양극화 심화, 사회 갈등 증대, 산업 구조 급변 등으로 인한 전반적인 사회 불안정을 확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AI 기술 발달로 인한 정부의 역할, 특히 한국의 통상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통상정책 방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이 체결한 21건의 FTA 협정문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통상정책은 해외 시장 중심, 민간 기업 중심, 성장 중심, 다자주의로 정의할 수 있다. 노동, 인권, 기후위기, 에너지 전환, 부의 불균형, 산업보호와 같이 AI 기술이 가져올 사회문제는 통상정책에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장 시대에 들어선 한국 경제를 고려할 때, 한국의 미래 통상정책 방향은 성장, 확대, 해외 중심에서 안정, 보호, 국내 산업 중심, 사회문제 해결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미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 국가들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자국의 산업 경쟁력 등을 고려하여 독자적인 가치를 설정하고 통상외교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I 시대에 한국의 통상정책은 기존 자유시장 경제 기반의 성장, 시장, 효율성 중심에서 노동, 인권, 기후위기, 에너지, 산업보호와 같은 예상되는 국내 문제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방향과 국내와 국외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통상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Now is the ag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ffers advantages such as enhancing operational efficiency, reducing costs, enabling quick decision-making, and strengthening a company’s adaptability. However, I also brings potential challenges, including unemployment, increased income inequality, heightened social conflicts and significant shifts in industrial structur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s trade policy amid changes in AI technology and the trade environment.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21 FTA agreements of Korea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South Korea’s trade policy can be characterized by overseas market expansion, a focus on private enterprises, growth-oriented priorities, and an emphasis on multilateralism. However, it tends to overlook critical social issues such as labor, human rights, climate, energy, inequality, and industrial protection. As we enter an era of low growth, South Korea’s economy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in its trade policy. While past policies emphasized growth, expansion, and overseas markets, the current focus should shift toward stability, protection, and domestic markets. Major countries are also transitioning their trade diplomacy policies, emphasizing value-based approaches. In the AI era, South Korea’s trade diplomacy should similarly prioritize addressing social issues such as labor, human rights, climate, energy, and industrial prot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및 데이터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2호 목차
- 국내 소비자의 중국 전자상거래에 관한 인식
-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위한 지속가능 글로벌 SCM 구축에 관한 연구
- 코스피 상장 기업의 ESG경영 현황 분석
- AHP 기법을 활용한 한국 무역중소기업의 전략적 ESG 우선순위 연구
- 4IR 시대 글로벌 아웃소싱 활용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남미형 디지털통상규범 표준모델 설정을 위한 연구
- 물류, 통관, GVC 참여 특성이 해상 및 항공 운송을 통한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중재조항과 중재가능성에 대한 판례동향
- 디지털 통상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 세계화의 위기와 정책적 시사점
- AI시대 한국의 통상외교 전략에 관한 연구
- 원산지 누적기준이 우리나라 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