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의 포용적 접근 방향 탐색
이용수 258
- 영문명
- Exploring Inclusive Educational Approache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송슬기(Seul-gi Song) 손민호(Min-ho Sh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6집 2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빠르고 복잡한 변화와 불확실성의 확대는 현대사회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개인성과 다양성이 심화되어가는 맥락에서 배타적 문화와 분쟁 역시 드물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오늘날, 인간에게 요구되는 소양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세계시민성의 요구로 귀결되어 왔다. 이 연구는 사회 변화에 따른 포용적 가치를 요구하는 교육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에 관한 폭넓은 문헌 분석에 기초하였다. 그리고 문헌 분석을 선행연구 수준에서 논의되었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요구와 국내 현황을 정리한 후, 최근의 UNESCO, OCED를 비롯한 교육 연구자들이 가치와 태도로서 세계시민성을 다루고 있는 연구 동향에 대해 살피며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적 접근 방향에 대해 탐색한 바 있다. 그 결과 연구는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의 방향으로 교과의 층위를 넘어서서 범교과적인 가치와 전략으로서 교수학습 및 평가 문화의 개선, 학급 문화를 통한 다양성과 보편성에 대한 경험 등을 채워나가는 것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실천적 논의를 보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포괄적인 교육과정 층위에서의 접근을 취했다는 점에서 구체적 실행연구를 실시하지 못했다는 한계 역시 갖는다.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문화의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 실행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Rapid and complex changes and the expansion of uncertainty ar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The reflection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now has led to the demand for global citizenship. This study is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education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which emphasizes inclusive value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Initially, the study organizes the demands and current statu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It then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by UNESCO, OECD, and educational researchers who address global citizenship as values and attitudes. The study explores practical approaches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ggesting methods beyond curricular, such as cross-curricular values and strategies, improving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cultures, and experiencing diversity and universality through classroom cultu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However, it also acknowledges a limitation in not conducting specific implementation studies due to its comprehensive curricular approac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need for concrete implementation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culture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의 교육과정과의 접목 방안 탐색
Ⅳ.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재학 중 진로준비행동 유형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 직업계고 교사의 중등직업교육 지원 사업에 관한 만족도 및 요구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