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6

영문명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Rough-and-Tumble Play and Autonomy Support on Children's Playfulness
발행기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저자명
김상진(Sang-Jin Kim) 김성원(Sung-Won Kim)
간행물 정보
『사회심리발달연구』제5권 1호, 58~7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04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자율성 지지, 유아의 놀이성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3세∼5세반 담임교사 231명과 유아 462명을 대상으로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의 자율성 지지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자율성 지지, 유아의 놀이성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는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 정도, 필요성 및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율성 지지 하위요인 중 존중이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전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rough-and-tumble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1 teachers and 462 children aged 3 to 5 years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Measures included teachers' perceptions of rough-and-tumble play,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playfulnes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s perception on rough physical play, support for autonomy, and children’s playfulness. Second,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support for autonom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playfulness. Perception on degree of attention, necessity and value of rough physical play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s’ perception on rough-and-tumble play and respect from the sub-factors of support for autonomy affected all sub-factors of children’s playfulnes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eschool teachers' positive on rough-and-tumble play and perceptions of rough-and-tumble play and their support for autonomy, confirming their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development. It underscores the critical role of teachers in fostering children's playful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진(Sang-Jin Kim),김성원(Sung-Won Kim). (2024).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발달연구, 5 (1), 58-70

MLA

김상진(Sang-Jin Kim),김성원(Sung-Won Kim).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발달연구, 5.1(2024): 58-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