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7

영문명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저자명
목민숙(Min Sook Mok)
간행물 정보
『사회심리발달연구』제5권 1호, 38~57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04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놀이지원역량이 미치는영향을확인하고자수행되었다. 방법 이를위하여경기도에소재한어린이집교사총230명을대상으로수업역량, 직무만족, 영유아교사상호작용 그리고 놀이지원역량에 대해 웹기반전자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역량,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놀이지원역량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수업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놀이지원역량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은 놀이지원역량을 통해 순차적인매개역할을하는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영유아교사는 자신의 수업실행능력성공여부에 따라 직무만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직무에 대한 가치와 보람을 느끼고 교사 스스로 안정적인 정서를 갖게 된다. 즉, 교사의 수업역량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아니라, 영유아-교사상호작용과 놀이지원역량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based electronic surveys from a total of 23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gi-do, assessing teaching competency, job satisf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competen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Seco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teacher-child interac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play support competency.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vary based on their teaching competency. It also highlights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 support competency indirect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and interaction skill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목민숙(Min Sook Mok). (2024).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발달연구, 5 (1), 38-57

MLA

목민숙(Min Sook Mok).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발달연구, 5.1(2024): 38-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