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과 학업성취도가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

이용수 504

영문명
Impact Pathway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CJ Donors Camp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강진아(Jina Kang) 임주원(Juwon Lim) 정익중(Ick-Joong Chung) 김서현(Seoh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1권, 53~8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과 학업성취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2022년도 CJ나눔재단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전국 청소년 중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560명을 표본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수를 투입하지 않았을 때 문화예술교육, 학업성취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은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업성취도는 자아존중감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모두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것을 매개변인으로투입하였을 때 문화예술교육,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게 변하여 문화예술교육,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이 완전매개하고 있다는점을 확인했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이 학업성취도보다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총간접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문화예술교육,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각각 모두 자아존중감이 공동체의식보다 큰 개별간접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할실천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 sample of 560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among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J Welfare Foundatio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2022,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en no mediating variables were introduced. Seco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but academ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only. Third, both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introduced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became insignificant, thus confirming the ful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total indirect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was greater than tha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individual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was greater than that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s amo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ways to promot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s a mean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아(Jina Kang),임주원(Juwon Lim),정익중(Ick-Joong Chung),김서현(Seohyun Kim). (2024).문화예술교육과 학업성취도가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53-87

MLA

강진아(Jina Kang),임주원(Juwon Lim),정익중(Ick-Joong Chung),김서현(Seohyun Kim). "문화예술교육과 학업성취도가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4): 5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