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주 월계동 1·2호 장고분의 석실 구조 비교

이용수 2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one Chamber Structure in the Keyhole-Shaped Tomb No. 1 and No. 2 in Wolgye-dong, Gwangju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영주(Young Joo Choi)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43집, 220~242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광주 월계동 1호와 2호 장고분의 석실 구조와 매장 방식을 통해 선후 관계를 살펴보았다. 양 석실은 甲자형(중앙연도식)이면서 문틀식 현문 시설로 벽석은 판상석을 뉘어 쌓았으며 수매의판석으로 석실 상부를 덮는 (네벽)조임식 구조가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1호분은 2호분 현실보다 50㎝ 정도가 큰 편이며, 2호분은 벽석 하부에 장대석을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규모가 큰 1호분이 2호분보다 선행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규모와 구축 재료의 준비 과정, 축조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보면, 2호분은 1호분을 기본 모델로 하여 만든 것이다. 1호분과 2호분의 매장 방식을 보면, 1호분은 개석이 없는 석관(1차장)과 목관(2·3차장), 2호분은 목관을 사용하였다. 1호분의 상식석관은 ‘열린 관’, ‘설치된 관’의 성격으로 현실은 유기적인 공간이면서분구에서 납관 및 매납 의례가 중요하게 행해진다. 목관은 ‘가두는 관’, ‘들어 나르는 관’의 성격으로현실은 무기적인 공간이면서 분구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빈장의례로 행해진다. 이에 매장 방식을 통해석관에서 목관으로 변화하는 것은 백제적인 매장 관념이 투영된 것이며, 1호분에서 2호분으로 조영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uccess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stone chamber structure and burial methods of the No. 1 and No. 2 keyhole-shaped tombs in Wolgye-dong, Gwangju, Both tombs have a central corridor design, featuring door frame-style structures, and the wall stones are stacked with flat stones. Also a common feature is the four-sided bracket system covered by flat stones, which caps the upper part of the tomb. However, the No.1 tomb is approximately 50 cm larger than the No.2 tomb, and the No.2 tomb differs in using large stones beneath the wall stones. Considering the scale, construction process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efficienc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o.2 tomb was built based on the No.1 tomb as a basic model. When examining the burial methods of the No. 1 and No. 2 tombs, the No. 1 tomb uses stone coffins without lids (1st burial) and wooden coffins (2nd and 3rd burial), while the No. 2 tomb employs wooden coffins. The stone coffins of the No. 1 tomb, characterized as open coffins, installed coffins, represent an organic space where burial rituals are held at the mound. In contrast, wooden coffins, characterized as confining coffins and carrying-in coffins, represent a mechanical space where empty burial rituals take place in a location other than the mound. Through this burial method analysis, the transition from stone coffins to wooden coffins indicates the influence of Baekje burial concepts, reflected from the No. 1 tomb to the No. 2 tomb.

목차

Ⅰ. 머리말
Ⅱ. 월계동 1·2호분 석실의 구조 비교
Ⅲ. 월계동 1·2호분 석실의 선후 관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주(Young Joo Choi). (2024).광주 월계동 1·2호 장고분의 석실 구조 비교. 마한백제문화, (), 220-242

MLA

최영주(Young Joo Choi). "광주 월계동 1·2호 장고분의 석실 구조 비교." 마한백제문화, (2024): 220-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