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실체적 접근

이용수 4

영문명
A practical approach to King Mu and Princess Seonhwa of the Baekje kingdom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완규(Wan Gyu Choi)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43집, 184~218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익산지역에는 고대도성의 구성요소인 왕궁, 미륵사, 제석사, 쌍릉, 성곽 등 고고유적들이 공주·부여지역보다도 양호한 상태로 남아있다. 이와 더불어 백제말기 천도사실을 뒷받침하는 문헌기록도 남아있어서 익산 역시 백제 왕도였음이 증명된다. 그러나 『三國史記』에는 익산천도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백제말기 익산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遷都說” “別都說” 등 많은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백제 무왕대 익산 천도론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무왕(서동)과 선화공주 대하여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자료의 새로운 검토를 통해 그 실체에 접근하고자 한다. 곧 무왕과 선화공주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는 일이야말로 백제말기 무왕대 익산의 역사적 성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기 때문이다. 익산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분묘와 문헌자료를 분석한 결과,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는 마한의 전통적역사적 인식을 살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제 무왕은 익산지역에서 성장한 백제계 왕족이 아닌 마한계 세력을 대표하는 걸출한 정치적인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한의 인식이 뿌리 깊게 지속되어온 익산지역의 마한계 세력은 무왕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고, 익산천도를 뒷받침하는 후원세력으로보았다. 백제 무왕과 한고조 유방의 탄생설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사람 모두 일반 평민과 같은 신분에서군왕에 즉위했기 때문에 용의 아들이라는 “君權神授” 설화를 통해 고대사회 일반적 원칙인 왕위 혈연계승의 의식을 극복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백제 무왕의 왕위계승 정체성을 담보하는 것이며 건국조설화와 비견되는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소왕릉에서 발견된 석주형 묘표석은 通天柱와 같은 성격으로 백제가 사비로 천도한 이후, 크게 높아진 부여계승 의식에서 비롯된 피장자의 출자에 대한 성격을 상징적 표식이라고 보았다. 이를 통해서소왕릉의 피장자는 백제 왕실의 공주와 같은 신분을 지닌 인물로 추정하였다. 백제말기 성왕 전사이후 혼란에 빠진 백제 왕실은 국정의 안정과 중흥을 위하여 익산 중심의 마한계 세력과 정치적 연대를 모색을 도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바로 백제 왕실의 공주와 익산의마한계 정치적 중심인물인 서동과의 결혼을 통해 이룰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는 익산에 남아있는 고대 수도의 요건이 되는 왕궁을 비롯한 도성유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익산 천도로 귀결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e Iksan area, archaeological ruins such as the royal palace,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Ssangneung Royal Tombs, and fortress wall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ancient city wall, remain in better condition than those in the Gongju and Buyeo areas. In addition, there are documentary records that support the fact that the capital was relocated in the late Baekje period, proving that Iksan was also the royal capital of Baekje. However, because the direct record of the relocation of Iksan is omitted in 『Samguk Sagi』, many theories, such a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another capital,” and etc., are being raised about the historical nature of Iksan in the late Baekje period. As part of the work to supplement the theory of the transfer of capital to Iksan during the reign of King Mu of Baekje, I seek to access the reality of King Mu (Seodong) and Princess Seonhwa who appear in the Seodong folktale through a new review of archaeological and literary data. In other words, uncovering the substantial truth about the two people is the most basic task to properly understand the historical character of Iksan during the reign of King Mu in the late Baekj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mbs and literary materials excavated in the Iksan area,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deeply rooted traditional historical awareness of Mahan. In addition, it was assumed that King Mu was an outstanding political figure representing the Mahan faction, not the Baekje royal family, who grew up in the Iksan region. The Mahan faction in the Iksan region, where the perception of Mahan had been deeply rooted, became King Mu's political base and was seen as a force supporting the relocation of the Iksan capital.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rth stories of King Mu of Baekje and Emperor Gojo (Liu Bang) of the Han Dynasty,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m ascended the throne from the same status as ordinary commoners, and thus, through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such as that the king is the son of a dragon, the consciousness of blood-related succession to the throne, a general principle in ancient society, was overcome. It guarantees the identity of Mu's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its value can be found comparable to that of the founding legend. The stone pillar-shaped tombstone discovered in Sowangnung tomb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ongcheonju (通天柱), and was seen as a symbolic mark of the nature of the origin of the deceased, which originated from the Buyeo succession consciousness that greatly increased after Baekje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buried in Sowangneung's tomb was a person with the same status as a princess of the Baekje royal family. It is presumed that the Baekje royal family, which fell into chaos after the death of King Seong at the end of Baekje, sought political solidarity with the Mahan faction centered on Iksan for the stability and revival of the kingdom. It is thought that this could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marriage of a princess from the Baekje royal family to Seodong, a central political figure in the Mahan region of Iksan. The result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Iksan, as can be seen from the royal palace and other capital remains, which are the requirements of an ancient capital remaining in Iksan.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무왕의 출생과 정치적 배경
Ⅲ. 소왕릉 묘표석과 선화공주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완규(Wan Gyu Choi). (2024).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실체적 접근. 마한백제문화, (), 184-218

MLA

최완규(Wan Gyu Choi).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실체적 접근." 마한백제문화, (2024): 184-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