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단고기』의 <삼일신고>와 인도 싯다 수행법의 비교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mil Singo from the Hwandangogi and the Siddha Practices of India: Focusing on the Practice of Jigam, Josik, and Geumchok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강시명(Si-myeong Kang)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11권 1호, 203~252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고대 신교 경전 <삼일신고>에서 강조하는 지감ㆍ조식ㆍ금촉의 수행법과 인도의 싯다 수행법 간의 공통점을 탐구하여 한국 전통 수행법의 의미와 비전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고대 환국, 배달, 단군조선 시대의 신선문화와 인도 싯다 전통 사이의 유사성을 밝혀, 인류 영성사적 관점에서 동북아 고대 신교문화의 면모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삼일신고>는 『환단고기』의 일부로, 한민족의 우주광명 사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행법을 담고 있으며, 특히 지감ㆍ조식ㆍ금촉의 수행법을 강조한다. 이는 고대 한민족 신선들이 수행했던 방식으로, 이들이 세상 문명을 주도한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반면, 인도의 싯다 수행법은 다양한 수행단계와 초상 능력(싯디)을 통해 정신과 물질의 융합을 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범아일여梵我一如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삼일신고>의 금촉ㆍ조식ㆍ지감의 수행법과 인도의 싯다 수행법의 아사나, 프라나야마, 프라티야하라를 비교 분석하여 양자가 그 방식이나 지향하는 바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신교의 영성문화와 한민족의 고유한 광명 수행법의 역사적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한국전통 수행법의 현대적 의의와 활용 방안을 모색하며, 개인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 분석과 현지 체험을 바탕으로 실시되었으며, 양 문명의 수행법이 갖는 철학적 배경과 실천적 의미를 폭넓게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수행법이 단순한 영적 수련을 넘어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깊이 있게 성찰하는 과정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수행법의 역할과 중요성을 새롭게 해석할 것이다. 이러한 고대 두 원형문화 사이의 비교연구를 통해 <삼일신고> 수행법의 독창성과 보편성이 드러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practices of Jigam, Josik, and Gamchok emphasized in the ancient Korean Singyo scripture, the Samil Singo, and the Siddha practices of India, and to present the meaning and vis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tation practices.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aims to uncove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ancient spiritual cultures of Hwan-guk, Baedal, and Dangun Joseon periods and the Indian Siddha tradition, thu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Northeast Asian Singyo (Spirit Teaching)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pirituality. The Samil Singo, part of the Hwandangogi, contains the philosophy of cosmic enlighten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methods of practice to realize it, particularly emphasizing the meditation practices of the three paths: Jigam (control of emotions), Josik (control of breath), and Geumchok (restriction of contact). These practices, performed by ancient Korean enlightened masters, were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that led to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In contrast, the Siddha meditation practices of India pursue the integration of mind and matter through various stages of practice and supernatural abilities (Siddhi), ultimately aiming to achieve the state of Brahman-Atman unity (Aham Brahmasmi).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ractices of Geumchok, Josik, and Jigam in the Samil Singo with the Asana, Pranayama, and Pratyahara practices of the Indian Siddha tradition, revealing that their methods and objectives are remarkably simila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unique value of the spiritual culture of Northeast Asian Shingyo and the distinctive practices of the Korean enlightenment tradition.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explore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and applications of traditional Korean meditation practices, suggesting ways in which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e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field experiences, aiming to broadly illuminat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practices of both civilizations. Ultimately,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Korean meditation practices are not merely spiritual exercises but a profound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universe.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ancient archetypal cultures, it is expected that the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the Samil Singo practices will be further highlight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민족의 수행법과 삼일신고
Ⅲ. 인도 싯다 수행법의 이론과 실제
Ⅳ. 삼일신고와 싯다 주요 전통의 수행법 비교 고찰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시명(Si-myeong Kang). (2024).『환단고기』의 <삼일신고>와 인도 싯다 수행법의 비교 고찰. 세계환단학회지, 11 (1), 203-252

MLA

강시명(Si-myeong Kang). "『환단고기』의 <삼일신고>와 인도 싯다 수행법의 비교 고찰." 세계환단학회지, 11.1(2024): 203-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