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층간분리 악화의 위험인자

이용수 0

영문명
Risk Factors for Aggravation of Myopic Retinoschisi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송지윤(Ji Yoon Song) 김종민(Jong Min Ki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volume65,number5, 328~336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받은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망막층간분리를 발생 혹은 진행시키는 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으로 진단된 후 유리체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받고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된 54안을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진 시와 최종 방문 시 빛간섭단층촬영 결과를 비교하여 망막층간분리의 발생 및진행 여부를 평가하고, 망막층간분리 발생 및 진행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42.82 ± 27.12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11안(20.3%)에서 망막층간분리가 악화되었으며(발생 7안, 진행 4안) 망막층간분리가 악화되지 않은 군에서 안축장은 29.21 ± 1.64 μm였고 악화된 군에서는 31.21 ± 2.52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망막층간분리의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안축장(p=0.041)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외측 망막층간분리가 있는 경우(p=0.018)가 연관된 인자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안축장(p=0.038, odds ratio =2.63)이 망막층간분리의 악화와 연관된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안축장이 증가할수록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층간분리 발생 및 진행의 위험도가 증가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축장이 긴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할 경우 망막층간분리에 대해서도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evalu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retinoschisis in patients with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treated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4 eyes with myopic CNV treated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We compar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s at baseline and final follow-up visits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progression of retinoschisis. Furthermore, we analyzed potenti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and progression of retinoschisis. Results: During a mean follow-up of 42.82 ± 27.12 months, retinoschisis worsened in 11 eyes (20.3%), including 7 eyes with new-onset disease and 4 with progression. The aggravated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longer baseline axial length compared to the non-aggravated group (31.21 ± 2.52 μm vs. 29.21 ± 1.64 μm, p = 0.011).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axial length (p = 0.041) and pre-existing outer retinoschisis (p = 0.018) as potential predictors of retinoschisis aggravation. In a multivariate analysis, axial length remain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tinoschisis aggravation (p = 0.038, odds ratio = 2.63). Conclusions: Our study emphasized that a longer axial length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retinoschisis in myopic CNV patients treated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Therefore, closer monitoring during treatment may be warranted for myopic CNV patients with long axial length at baseline.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지윤(Ji Yoon Song),김종민(Jong Min Kim). (2024).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층간분리 악화의 위험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5 (5), 328-336

MLA

송지윤(Ji Yoon Song),김종민(Jong Min Kim).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층간분리 악화의 위험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5.5(2024): 328-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