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과 위축감, 자살사고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용수 13

영문명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hood, Feeling of Intimidation, and Suicidal Ideation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백승아(Seung A Paek)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72집, 19~4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위축감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발달단계에 맞추어 초·중·고등학생 시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의 발달을 개별적으로 검증한 것과는 달리, 발달단계별(초등, 중등, 고등) 비교를 통해,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자살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0차(2015), 13차(2018), 16차(2021) 아동부가조사 자료로, 10차 때 초등학생, 13차 때 중학생, 16차 때 고등학생으로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총 1,17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은 SPSS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위축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 위축감,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초등학생 시기에는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자살사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ffects of childhood depression and anxiety on suicidal though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Unlike existing studies that individu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suicidal thoughts in childhood by comparing the development st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are data from the 10th (2015), 13th (2018), and 16th (2021) Children's Supplementary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inclu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10th rou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3th round,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6th round. A total of 1,174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PROCESS macro.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hood and suicidal thoughts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hood, feelings of withdrawal, and suicidal thoughts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based on these results,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was proposed to reduce suicidal thoughts in adolescence.

목차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아(Seung A Paek). (2024).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과 위축감, 자살사고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생명연구, (), 19-40

MLA

백승아(Seung A Paek). "아동기 및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과 위축감, 자살사고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생명연구, (2024): 19-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