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조경제혁신센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김가연(Gayeon, Kim) 남정민(Jungmin Nam)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3호, 211~2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민간자율형 혁신센터 2곳을 제외한 전국 17개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선행연구, 기사, 센터 홈페이지, 센터 내부자료, 실무자 FGI 등을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별 인력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기능인 ‘혁신거점’과 ‘창업허브’라는 두 가지의 영역에 기반하여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별 세부 프로그램들을 지역혁신 창업문화 조성, 지역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투자연계 및 선순환 투자생태계 조성, 지역특화산업 활성화로 분류하여 센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혁신 창업 허브로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창조센터가 지역창업 허브 및 지역혁신 주도 기관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대학과의 연계 뿐 아니라 지역 유관 기관들과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지자체 주도로 지역 특화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 훈련 기능이 기업과 상시적으로 교류되어야 한다. 둘째, 창조센터 대부분 투자자원은 초기자원 지원형태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창업 초기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해 지원기업별, 성장단계별 등 여러 방면에서의 질적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센터는 국내외 ESG 규제 강화 움직임에 따라 스타트업 맞춤형 ESG경영 교육 및 인증지원사업, 멘토링 등을 통해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조센터는 지역 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 센터별 개방형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내부 구조상 자유롭게 협업사업에 투입할 수 있는 예산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17 regional creative economic innovation centers, excluding two private autonomous innovation centers, out of a total of 19 nationwide, and conducted case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rticles, center websites, internal data,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s as regional startup hubs and drivers of local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ir roles not only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but also through realigning their roles with relevant local institution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most of the investment resources for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s remain in the form of initial funding support. To facilitate the scale-up of early-stage startups,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alitative improvement measure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upport tailored to specific businesses and growth stages. Additionally,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ing global and domestic ESG regulations, centers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customized ESG management education and certification support for startups, as well as mentoring programs. Thirdly,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s should actively operate open programs specific to each center and allocate budgets that allow for flexible engagement in collaborative projects within their internal structure.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the issue of regional decline by considering business initiatives for local youth, which als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startup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support for “born-global” startups that target niche global markets from the early stages of entrepreneur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and verifying that the various attempts and efforts needed to build a regional innovation start-up ecosystem, as well as quantitative results on supporting the growth of startups and existing local SMEs discovered and fostered through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as well as job creation and maintenance based on regional economic growth, need to be mainta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별 비교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가연(Gayeon, Kim),남정민(Jungmin Nam). (2024).창조경제혁신센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 (3), 211-237

MLA

김가연(Gayeon, Kim),남정민(Jungmin Nam). "창조경제혁신센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3(2024): 211-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