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년제 대졸 취업자의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 분석

이용수 44

영문명
Analysis of the NCS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남선혜(Sun-Hye Nam) 이영민(Young-Mi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3호, 103~1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의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하여 취업한 195명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의 34개 하위 항목에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및 Borich 공식과 Hershkowitz 임계함수를 활용하여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NCS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졸업생은 NCS 직업기초능력 34개의 영역 중 문서작성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외국어능력, 기초연산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자원관리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적용능력, 업무이해능력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의 하위 능력인 기초외국어능력, 의사표현능력, 자기개발능력의 하위 능력인 경력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능력인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을 최우선 순위로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졸업생이 인식하는 교육 요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NCS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향후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s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mong gradua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Sub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a in universities to enhance the fundamental vocational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95 individual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and are currently employed to determine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s of vocational fundamental proficiencies as defin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paired sample t-test, Borich analysis, and Hershkowitz Critical function were then employed to analyz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among the 34 areas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graduate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necessary state and the current state in document writing ability, expression ability, basic foreign language ability, basic arithmetic ability,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career development ability, time resource management ability, budget resource management ability, leadership ability, conflict management ability, negotiation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technical understanding ability, technical application ability, and job comprehension ability. Secondly, it was determined that basic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expression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communication, career development ability, and self-management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self-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nd negotiation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hould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in the consideration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perceived by graduates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NCS-based education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effectively developing the NCS basic vocational skills of future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선혜(Sun-Hye Nam),이영민(Young-Min Lee). (2024).4년제 대졸 취업자의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 분석.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 (3), 103-120

MLA

남선혜(Sun-Hye Nam),이영민(Young-Min Lee). "4년제 대졸 취업자의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 분석."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3(2024): 10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