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운동중심의 신체적 frailty 측정 도구 개발

이용수 84

영문명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for physical frailty applying for the elderly exercise-centered frailty mesurement for kinesiology
발행기관
한국노년교육학회
저자명
정원정(Won Chung Chung) 박휴경(Hyu Kyoung Park)
간행물 정보
『노년교육연구』Vol. 10 No. 1, 23~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강과 관련된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노년기는 노화가 상당히 진행되면 인체의 허약 진행에 노화 관련 변인들이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허약을 예방하고 노화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허약을 측정할 수 있는 노인운동 중심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신체적 허약을 판별하기 위해 운동학적 운동 중심의 허약 기준을 기반으로 적용하는 신체적 fraily 측정 척도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측정척도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전문가집단이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유목적표집으로 노화와 노인 복지 전공 교수 및 교육자, 스포츠 지도자, 노인운동 트레이너, 노인체육 현장 지도자, 운동처방사 등 총 11명으로 노인복지, 스포츠, 노인훈련지도자, 노인스포츠지도자, 운동처방 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첫 단계에서 신체적 손실, 보행속도 지연, 프리드의 허약 판단 방법, 일상생활 수행능력, 기능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노인체력검사, TUG를 이용하여 1차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둘째 단계에서 1차적으로 전문가의 합의로 수렴도, 일치도, 안정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2차적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총 17문항의 α는 .954, 수렴도 0.5 이하, 일치도 0.75 이상, 안정도 0.5 이하를 보였으며, 2번 문항을 제외하고 내용타당도를 모두 충족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수렴도, 일치도, 안정도, 내용타당도를 반영한 2번 문항은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TFI와 CGA & FI 기반 한국형 노화검사 측정도구 내용타당도는 전문가들의 의견 합의에 따라 유의미하다.

영문 초록

Health-related aging affect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life. In old age, when aging progresses considerably, aging-related variables are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frailty in the human body. Therefore, developing an elderly exercise-centered tool to measure the appropriate frailty to prevent frailty and prevent disorders caused by aging are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hysical 'frailty measurement scale' applying based on the kinematic exercisecentered frailty criterion to discriminate physical frail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experts who have verified the measurement scale. As a purposive sampl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lphi survey, 11 experts were composed. In the first step of the research process, the primary screen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leted using physical loss, walking speed delay, Fried's frailty determination method,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functional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elderly physical fitness test, and TUG. In the second step, opinions were first collected to confirm the degree of convergence, agreement, and stability with the consensus of experts, and content validity was secondarily verified. The reliability was chronbach α=.954, and in a total of 17 questions, convergence was .5 or less, agreement was .75 or more, and stability was .5 or less. Content validity was satisfied except for question 2 (unintended loss of 5kg of two-year-old weight within 6 months). Finally, the measurement tool was completed by determining that question 2 was suitable by reflecting the degree of convergence, agreement, stability and content valid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원정(Won Chung Chung),박휴경(Hyu Kyoung Park). (2024).노인 운동중심의 신체적 frailty 측정 도구 개발. 노년교육연구, 10 (1), 23-37

MLA

정원정(Won Chung Chung),박휴경(Hyu Kyoung Park). "노인 운동중심의 신체적 frailty 측정 도구 개발." 노년교육연구, 10.1(2024): 2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