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5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발행기관
한국노년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상(Eunsang Kim) 한정란(Jungran Han) 명다솔(Dasol Myeong)
간행물 정보
『노년교육연구』Vol. 10 No. 1,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윤경 등(2020)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사용된 10,097명의 원자료에 대해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삶의 만족도, 사회활동 참여, 사회적지지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활동 참여와 사회적지지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과 사회활동 참여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넷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우울이 사회활동 참여를 경유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 정책 및 실천을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For this purpose, raw data from Lee et al.'s (2020) were re-analyzed. A total of 10,097 subje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for Windows and SPSS PROCESS macro 4.2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fr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Fourth,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ifth, social support was found to moderate and mediate th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added for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상(Eunsang Kim),한정란(Jungran Han),명다솔(Dasol Myeong). (2024).노년기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년교육연구, 10 (1), 1-22

MLA

김은상(Eunsang Kim),한정란(Jungran Han),명다솔(Dasol Myeong). "노년기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년교육연구, 10.1(2024):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