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白鳥庫吉의 일본신화와 단군신화 이해에 대하여

이용수 21

영문명
On the Shiratori Kurakichi’s Understanding Japanese Myth and Tangun Myth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근우(Kun-woo R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40집, 207~256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白鳥庫吉는 단군신화를 문헌고증의 방법으로 연구한 최초의 일본 학자이다. 그는 일본신화에 대해서, 비교신화학 및 언어학의 관점에서 연구하여 「神代史の新 硏究」라는 강연록을 남겼다. 일본신화에 대해서는 중국의 문헌뿐만 아니라 유럽· 아메리카 등의 사례까지 동원하여 설명함으로써, 일본신화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 신화 속의 신은 자연 및 자연현상의 의인화이며, 신의 세계는 관념적인 세계라고설명하였다. 특히 일본 신화에 나타나는 신화적 보편성·목적성·중국 사상의 반영에 대하여 지적하였다. 한편 단군신화에 대해서는, 檀·妙香·桓因이라는 세 어휘에만 주목하고 불경 속에서 관련된 사례를 찾음으로써, 고구려가 불교를 수용한 이후인 장수왕 대에 승려들이 단군신화를 조작한 것이라는 성급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그는 불교에 대한 논문을 단 한 편도 쓰지 않았고, 불교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단군신화를 불교와 연관시켰다. 일본신화의 천손강림이나 日向三代의 주무대인 日 向에 대하여 다루지 않았고, 단군신화의 蒜·艾·熊女 등 신화의 본질적인 부분에대해서도 다루지 않았다. 즉 부분에 집착하고 전체를 간과하는 잘못을 범했다. 동시에 단군신화에 대해서는 일본신화처럼 각종 사료를 구사하여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단군고를 쓴 시점(29세)과 일본 신화에 대한 강연을 남긴 시점(63세)이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hiratori Kurakichi was the first Japanese scholar to study Tangun mythology as a method of documentary evidence. He studied Japanese myth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theology and linguistics and wrote an article called New study on gods' period.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Japanese mythology was expanded by explaining not only Chinese literature but also cases such as Europe and America. He explained that the mythical gods are the personification of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and that the world of God is an ideological world. In particular, it pointed out the mythical universality, purpose and influence of Chinese ideology in Japanese mythology. On the other hand, as for Tangun mythology, it was hastily concluded that monks manipulated Tangun mythology in the King Jiangsu era after Goguryeo accepted Buddhism by paying attention to only the three words, birch, mysterious scent, and Whan-in. However, he did not write a single paper on Buddhism, and even though he did not know much about Buddhism, he related Tangun mythology to Buddhism. He did not deal with Himuka, the place where the grandson of the sun god in Japanese mythology descended and the stage of three generations in Himuka, nor with the essential part of Tangun myth. In other words, he made the mistake of being obsessed with the part and overlooking the whole. At the same time, Tangun mythology was not explained by us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like Japanese mythology, because the time of writing tangun's thesis (1894, 29 years old) and the time (1928, 63 years old) left a lecture on Japanese mytholog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목차

Ⅰ. 머리말
Ⅱ. 「神代史の新硏究」의 신화 이해
Ⅲ. 일본신화의 이해
Ⅳ. 단군신화의 이해
Ⅴ. 신화 이해의 문제점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우(Kun-woo Rhee). (2022).白鳥庫吉의 일본신화와 단군신화 이해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탐구, (), 207-256

MLA

이근우(Kun-woo Rhee). "白鳥庫吉의 일본신화와 단군신화 이해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탐구, (2022): 207-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