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7세기 고구려 도교의 실상과 배경

이용수 44

영문명
The Reality and Its Background of Taoism in Goguryeo in the 7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강진원(Jin-wo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40집, 9~4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류왕 시기 도교라는 새로운 사조의 유입이 이루어진 것은 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도교 수용은 외교적 방침으로 행해졌으므로, 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보장왕 시기 연개소문의 도교 진흥 또한 당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조치였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무렵부터는 도교가 비중 있는 역할을 하였다. 도사들은 방술과 비결을 통하여 국가 공동체의 존속과 무사태평을 빌었다. 이는 고구려 측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는데, 동요하던 사회 분위기를 진정시키는 데 일정한 도움을 주었다.

영문 초록

In the period of King Yeongnyu’s reign, Goguryeo embraced Taoism, which was a new trend, in order to maintain amicable relations with Tang dynasty. The adoption of Taoism at this time was carried out as a diplomatic policy. As a result, Taoism could hardly take root in the society. In the period of King Bojang’s reign, Yeon Gaesomun promoted Taoism, kee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ang dynasty in mind. Nevertheless, Taoism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Goguryeo from this time on. Ascetics prayed for the survival and peace of the state-community through technical tricks and mystic prediction. This was requested by Goguryeo, and it helped to settle down the agitated social atmosphere.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류왕 시기 도교 수용의 토대와 실제
Ⅲ. 보장왕 시기 도교 진흥의 원인과 역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원(Jin-won Kang). (2022).7세기 고구려 도교의 실상과 배경. 한국고대사탐구, (), 9-42

MLA

강진원(Jin-won Kang). "7세기 고구려 도교의 실상과 배경." 한국고대사탐구, (2022): 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