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림골재 내 불소의 지질학적 분포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Study on Geological Distribution of Fluorine in Forest Aggregate within Kor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정영일(Yeong-Il Jeong) 김건기(Kun-Ki Kim) 김순오(Soon-Oh Kim) 이상우(Sang-Woo Lee) 이진영(Jin-Young Lee)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7권 2호, 233~24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골재 주요 공급원이 될 수 있는 암석 내 불소의 지질학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2개 시군의 224개 지점에서 산림골재(암석) 시료를 채취하여 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전국 불소 배경농도는 344 ㎎/㎏으로 암석의 지각 평균 불소 농도인 625 ㎎/㎏ 보다 현저히 낮으며, 세계 토양 평균 불소 농도인 321 ㎎/㎏ 보다는 다소 높았다. 권역별 농도분포는 경기도 394 ㎎/㎏, 강원도 336 ㎎/㎏, 충청도 318 mg/kg, 경상도 289 ㎎/㎏, 전라도 271 ㎎/㎏ 순서로 조사되었다. 지체구조에 의한 농도분포는 경기육괴가 396 ㎎/㎏으로 가장 높았으며, 퇴적분지/화산대인 울릉도가 349 ㎎/㎏, 옥천습곡대 291 ㎎/㎏, 영남육괴 281 ㎎/㎏, 경상분지 259 ㎎/㎏ 순서로 높았다. 모암의 성인에 의한 농도분포는 변성암이 362 ㎎/㎏으로 가장 높았으며, 퇴적암 354 ㎎/㎏, 화성암 328 ㎎/㎏ 순서로 조사되었다. 지질시대에 의한 농도분포는 고생대가 394 ㎎/㎏으로 가장 높았으며, 트라이아스기 391 ㎎/㎏, 선캠브리아시대 368 ㎎/㎏, 쥐라기 359 ㎎/㎏, 시대미상 324 ㎎/㎏, 제4기 314 ㎎/㎏, 백악기 304 ㎎/㎏ 순서로 높았다. 암종에 따른 불소 농도분포는 섬록암이 515 ㎎/㎏으로 가장 높았으며, 편마암류 377 ㎎/㎏, 편암류 344 ㎎/㎏, 천매암 306 ㎎/㎏, 화강암류 305 ㎎/㎏, 석영반암 298 mg/kg 순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경기도 지역의 지각 을 이루는 경기육괴 내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인 편마암류와 편암류가 높은 농도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log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uorine in rocks, which can be a major resource of forest aggregates in Korea. Samples of forest aggregates were collected from 224 sites in 22 cities and counties for this study. The national background concentration was 344 ㎎/㎏,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erage fluorine concentration of crustal, which was 625 ㎎/㎏, and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fluorine concentration of world soil, which was 321 ㎎/㎏. In terms of region and tectonic structure, fluorine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to be highest in Gyeonggi-do(394 ㎎/㎏) and Gyeonggi massif(396 ㎎/㎏),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by the origin of the parent rock was in the order of metamorphic rock(362 ㎎/㎏) > sedimentary rock(354 ㎎/㎏) > igneous rock(328 ㎎/㎏),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by geologic ages was the highest in the Paleozoic at 394 ㎎/㎏.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by rock types was in the order of diorite(515 ㎎/㎏) > gneisses(377 ㎎/㎏) > schists(344 ㎎/㎏) > phyllite(306 ㎎/㎏) > granites(305 ㎎/㎏) > quartz porphyry(298 ㎎/㎏). Consequently, it is speculated that gneisses and schists,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that forms the crust of Gyeonggi-do, contain high fluorine concentration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5. 향후 연구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일(Yeong-Il Jeong),김건기(Kun-Ki Kim),김순오(Soon-Oh Kim),이상우(Sang-Woo Lee),이진영(Jin-Young Lee). (2024).산림골재 내 불소의 지질학적 분포 연구. 자원환경지질, 57 (2), 233-241

MLA

정영일(Yeong-Il Jeong),김건기(Kun-Ki Kim),김순오(Soon-Oh Kim),이상우(Sang-Woo Lee),이진영(Jin-Young Lee). "산림골재 내 불소의 지질학적 분포 연구." 자원환경지질, 57.2(2024): 233-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