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습식 골재 생산 공정에서 모래 및 케이크 발생량 평가

이용수 4

영문명
Evaluation of Changes in Particle Size and Production of Sand and Cake Produced in Wet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정영욱(Young-Wook Cheong) 이진영(Jin-Young Lee) 홍세선(Sei-Sun Ho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7권 2호, 177~18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골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케이크의 발생을 줄이는 방안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8개 습식 골재 생산 업체의 케이크를 수집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다. A 골재 생산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입도 분석을 수행했다. 생산 공정을 모델링하여 모래 회수 장치 전후에서 물질 수지를 계산했다. 8개의 케이크 입도 분석 결과 하나의 시료에서 모래가 50% 포함된 사례도 있었고 나머지는 약 5~25% 포함하고 있었다. 케이크 내 다양한 모래가 포함하고 있다는 결과는 현장의 모래 회수 장치의 회수 효율이 다양함을 의미할 수 있다. A 업체 파쇄 공정에서 모래 입도는 2차 파쇄 때보다 3차 파쇄 때에 2.8배 증가했고 케이크 입자도 더 많이 발생했다. 모래 회수 공정을 모사한 결과 사이클론 및 탈수체의 분극점이 낮아질수록 모래 생산은 증가했고 케이크 발생은 적어지는 추세가 나타났다. 현장에서 케이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골재생산 공정에서 특히 모래 회수 장치의 적정 운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reduce the production of cakes generated in the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Cakes from 8 wet aggregate producers were collected and particle size was analyzed. Samples were collected step by step from an aggregate producer A, particle siz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aterial balance was calculated before and after an sand recovery unit by modeling the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eight cakes, one sample contained 50% sand, and the rest contained about 5% to 25% sand. The results showing that the cake contained a variety of sand in cakes may indicate that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sand recovery units in the field varied. Sieve analysis of the samples showed that the generation of sand particles increased 2.8 times during the third crushing compared to the second crushing, and more cake particles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sand recovery unit model, the lower the cut point of the cyclone and dewatering screen, the higher the sand production and the less cake production appeared.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of cake in the field, it was determined that an optimal operation of the sand recovery unit was necessary in the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론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욱(Young-Wook Cheong),이진영(Jin-Young Lee),홍세선(Sei-Sun Hong). (2024).습식 골재 생산 공정에서 모래 및 케이크 발생량 평가. 자원환경지질, 57 (2), 177-184

MLA

정영욱(Young-Wook Cheong),이진영(Jin-Young Lee),홍세선(Sei-Sun Hong). "습식 골재 생산 공정에서 모래 및 케이크 발생량 평가." 자원환경지질, 57.2(2024): 177-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