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상북도 골재수요-공급 관리 전략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Study on the Strategy for Managing Aggregate Supply and Demand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이진영(Jin-Young Lee) 홍세선(Sei Sun Hong) 백철승(Chul Seoung Baek)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7권 2호, 161~17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골재는 일반적으로 암석이 강에서 운반되거나 인공적으로 파쇄되어 형성된 모래와 자갈 등을 말하며, 건설 산업의 핵심 자원이다.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행정구역으로, 산림골재, 육상골재, 하천골재, 선별파쇄골재 등 다양한 종류의 골재를 생산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약 696 만㎥의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이 중 허가에 의한 채취물량은 약 407 만㎥, 신고물량은 약 288 만㎥이다. 경상북도의 골재수요는 레미콘 공급량의 추정 방법에 따라 1,239 만㎥로 나타난다. 골재의 공급 측면에서는 약 120 개의 채취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군에서는 골재의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경상북도 인접지역에 반입과 반출이 발생하고 있다. 경상북도의 골재의 반입과 반출이 많은 지역은 경부선을 따라 경상북도 남부와 대구광역시, 포항시로 연결되는 지역이며 인구의 분포와 높은 관련성이 나타난다. 경상북도는 인구 감소와 농촌 지역의 고령화, 지역 간의 균형 발전 부족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로 제시된 GIS를 이용하여 출발지-도착지 분석을 통해 파악된 골재의 수요와 공급 흐름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확인된다. 경상북도의 골재산업구조와 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 현재 경상북도는 다양한 골재원의 공급으로 수요를 충족하고 안정적인 골재 수급이 유지되고 있다. 하천골재와 육상골재는 장기적인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단기간 공급전략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선별파쇄를 통한 공급은 원석 공급에 의존하여 안정성 유지가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원석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경상북도에서는 골재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장기적인 대안으로 산림골재가 중요 자원으로 부각되어 대규모 골재 채석장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골재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안정적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ggregate typically refers to sand and gravel formed by the transportation of rocks in rivers or artificially crushed, constituting a core resourc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yeongsangbuk-do, the largest administrative area in South Korea, produces various sources of gravel, including forest, land (excluding other sources), river, and crushed stone. As of 2022, it has extracted approximately 6.96 million cubic meters of aggregate, with permitted production totaling around 4.07 million cubic meters and reported production of about 2.88 million cubic meters. The aggregate demand in Gyeongsangbuk-do is estimated to be 12.39 million cubic meters according to the estimation method in Ready-Mix Concrete. From the supply perspective, about 120 extraction sites are operational, with most municipalities maintaining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supply. However, in some areas, there is inbound and outbound transportation of aggregate to neighboring regions. Regions with significant inbound and outbound aggregate transportation in Gyeongsangbuk-do are areas connected to Daegu Metropolitan City and Pohang City along the Gyeongbu rail line,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population distribution. Gyeongsangbuk-do faces challenges such as population decline, aging rural areas, and insufficient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alysis using GIS reveals these trends in gravel demand and supply. Currently in this study, Gyeongsangbuk-do meets its demand for aggregate through the supply of various aggregate sources, maintaining stable aggregate procurement. River and terrestrial aggregates may be sustained as short-term supply strategies due to the difficulty of longterm development. Considering the reliance on raw material supply for selective crushing, it suggests the need for raw material management to maintain stability. Gyeongsangbuk-do highlights quarries in the forest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sustainable aggregate supply, advocating for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aggregate quarries as a long-term alternative. Thes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ormulat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stable utilization of aggregate resources.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토 의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영(Jin-Young Lee),홍세선(Sei Sun Hong),백철승(Chul Seoung Baek). (2024).경상북도 골재수요-공급 관리 전략 연구. 자원환경지질, 57 (2), 161-175

MLA

이진영(Jin-Young Lee),홍세선(Sei Sun Hong),백철승(Chul Seoung Baek). "경상북도 골재수요-공급 관리 전략 연구." 자원환경지질, 57.2(2024): 161-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